사랑이란

나의 전부를 들어

당신의 전부와 만날 때 우리의 소통은 완전해질 수 있으리라.

한 송이 꽃은

한 마리 나비를 유인하기에 성공하는 것으로 완전할 수 있다.

한 마리 나비는 꽃가루를 전달하는 것만으로도 완전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 꽃과 나비는 소통한 것이며

그 순간 꽃과 나비는 완전해졌다.

그러나 우리의 소통은 늘

어제의 표절이거나 내일의 예고편이다.

그것은 복제된 것이고 짜깁기 된 것이며 습관이고 타성이고 진부한 것이다.

그런 식이어서는 불완전하다.

먼저 개인이 완전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자유에 이르는 것이다.

우르르 몰려다니기 잘하는 ‘군중’으로부터 독립하여

독립적으로 사고하는 강한 개인이 되어야 한다.

완전은 에너지 순환의 1사이클의 의미에서의 완전이다.

그것은 기승전결의 완전, 3막 5장의 완전,

그리고 ‘제시부, 전개부, 재현부’ 의 완전이다.

프레이즈를 시작할 때 처음 작게 시작하지만,

그 프레이즈 전체의 기운을 담고 있는 것처럼

부분은 전체와 공명할 때 완전하다.

신의 몫이 ‘제시’라면, 자연의 몫이 ‘전개’가 되고

인간의 몫은 ‘재현’하는 것이다.

부분으로 그 스테이지 전체의 뜻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이라는 작은 한 부분이

신의 설계한 바 우주 전체의 기운을 담아내는 방법으로

비로소 완전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0 참된 사랑은 김동렬 2008-12-30 3296
29 무릇 깨달음이란 김동렬 2008-12-30 2972
28 인간의 삶은 김동렬 2008-12-30 2856
27 신의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과정 김동렬 2008-12-30 3120
26 당신이 지금 무언가를 시작한다면 김동렬 2008-12-30 2776
25 삶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컨셉 김동렬 2008-12-30 3054
24 인간에게는 다만 김동렬 2008-12-30 2610
23 사랑이란 완전에 관한 욕망이다 김동렬 2008-12-30 2797
22 세상 어딘가에 신의 언어가 있다면 김동렬 2008-12-30 2955
21 [ 사랑 ] 김동렬 2008-12-30 3054
20 영혼은 있을까? 김동렬 2008-12-30 2984
19 자유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12-30 3936
18 사랑은 자유다 김동렬 2008-12-30 3460
17 나의 계획은 둘이다 김동렬 2008-12-30 2920
16 세상이 변했으니 삶도 변해야 한다 김동렬 2008-12-30 3157
15 빛은 있다 김동렬 2008-12-30 2776
14 경주 남산에는 옥이 많아서 ‘경주 남석’으로 불린다 김동렬 2008-12-30 4190
13 절대고독 속에서 김동렬 2008-12-30 3025
12 진짜와 가짜 - 관광객과 순례자의 차이 김동렬 2008-12-30 3140
11 예술은 진리의 보편성에서 가치를 유도하고 김동렬 2008-12-30 2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