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란

나의 전부를 들어

당신의 전부와 만날 때 우리의 소통은 완전해질 수 있으리라.

한 송이 꽃은

한 마리 나비를 유인하기에 성공하는 것으로 완전할 수 있다.

한 마리 나비는 꽃가루를 전달하는 것만으로도 완전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 꽃과 나비는 소통한 것이며

그 순간 꽃과 나비는 완전해졌다.

그러나 우리의 소통은 늘

어제의 표절이거나 내일의 예고편이다.

그것은 복제된 것이고 짜깁기 된 것이며 습관이고 타성이고 진부한 것이다.

그런 식이어서는 불완전하다.

먼저 개인이 완전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자유에 이르는 것이다.

우르르 몰려다니기 잘하는 ‘군중’으로부터 독립하여

독립적으로 사고하는 강한 개인이 되어야 한다.

완전은 에너지 순환의 1사이클의 의미에서의 완전이다.

그것은 기승전결의 완전, 3막 5장의 완전,

그리고 ‘제시부, 전개부, 재현부’ 의 완전이다.

프레이즈를 시작할 때 처음 작게 시작하지만,

그 프레이즈 전체의 기운을 담고 있는 것처럼

부분은 전체와 공명할 때 완전하다.

신의 몫이 ‘제시’라면, 자연의 몫이 ‘전개’가 되고

인간의 몫은 ‘재현’하는 것이다.

부분으로 그 스테이지 전체의 뜻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이라는 작은 한 부분이

신의 설계한 바 우주 전체의 기운을 담아내는 방법으로

비로소 완전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0 20세기 들어 혁명이 일어난 나라들의 공통점 김동렬 2008-12-31 2932
29 구원에 대하여 김동렬 2008-12-31 2926
28 나의 계획은 둘이다 김동렬 2008-12-30 2921
27 존 레넌의 Imagine에서 김동렬 2008-12-30 2899
26 가치의 언어들 김동렬 2008-12-30 2898
25 세상은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라 했소 김동렬 2008-12-30 2898
24 시조창을 처음 들으러 갔을 때 김동렬 2008-12-30 2898
23 사람과 사람 김동렬 2008-12-30 2894
22 구도문학에 있어서의 성 역할 김동렬 2008-12-30 2891
21 나는 무엇을 믿는가? 김동렬 2008-12-30 2887
20 나는 늘 당신을 초대하고 싶지만 김동렬 2008-12-30 2886
19 단어들 김동렬 2008-12-31 2879
18 자아에 대하여; 하나 김동렬 2008-12-31 2876
17 신은 완전성의 표상 김동렬 2008-12-30 2869
16 구원 김동렬 2008-12-31 2866
15 신의 정원에 초대를 받아 김동렬 2008-12-30 2862
14 인간의 삶은 김동렬 2008-12-30 2856
13 내 유년의 어느 날 김동렬 2008-12-30 2855
12 사랑은 얻는 것이 아니라 완성시키는 것 김동렬 2008-12-30 2850
11 사랑은 재현하는 것 김동렬 2008-12-30 2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