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일화 하나,

친구하나가 연락이 왔다. 6년만에 판사시험에 합격했다고. 만으로 서른둘. 나이란 상대적인것이지만, 이 거친 한국사회에서 그 좁은 문을 통과한걸 축하해주었다. 물론 상식과 정의에 입각한 법조인이 되길 당부하는것도 잊지 않았다. 우리 둘이, 십대에서 이십대초입에 만났으니, 10년 남짓의 세월을 그곳에 부운셈이다.

일화 둘,
국내 대기업의 상사에서 근무하는 친구가 출장차 워싱턴 디시에 왔다. 오랜만에 만나,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에 여념이 없었다. 아직 끊지 못한 담배와, 피로감으로 나에게 말을 건네는 친구의 모습이 유학생인 내가 보기에도 안스러워 보였다. 곧 결혼한다니 행복하기를...

일화 셋,
고3시절 마지막, 대학을 다 떨어지고 나서, 재수할 시절에, 열심히 해야한다고 남들이 말하던 그 시절에 미안하지만, 나는 교보문고 서가 1번 구석에 박혀서 신간도서를 헤아리고 있었다. '너도 할수 있다.',  '공부가 쉬웠어여',  '우리아들 이렇게 키웠다.' 같은 유치한 책들이 마구 마구 눈에 들어왔다. 나도 할수 있을것 같은 망상이 들면서도, 허무해지는 감정을 지울수 없었다. 그래서 피워댔던, 종로쪽 교보문고 출입구 바위 벤치였으리라....

일화가 아닌 현실. 그리고 한국의 이십대.
학교 선생님도 답해주지도 않고, 선배는 더 모르는, 그리고, 실은 자신도 알지못해 방황하는 '진로'에 대해서 '구조론'은 답해주어야한다. '시야', '만남', '길', '노력', '결실'이라는 추상화된 테마에서, 개인에게 연역된 삶의 도면이 제시되어야한다.

구조론이 20대초반의 한국 젊은이들에게 '냉전해체이후의 이 글로벌 다단계 시대에' 간절히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458
637 다시 보는 4대강 찬동인사와 언론 3 수원나그네 2018-07-08 2640
636 한국 인문사회과학 풍토 눈마 2017-03-24 2640
635 아인슈타인의 절대성이 문제 chow 2022-09-19 2639
634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22 2638
633 지금 우리 교육은 모순의 시대 3 이상우 2022-10-12 2636
632 구조론으로 익힌것. 눈마 2016-12-23 2627
631 경주최부자 후손이 개천절에~ image 수원나그네 2018-09-19 2626
630 < '소설'이라 이름 붙이고 직감이라고 읽어야 하리> 3 아란도 2021-10-07 2619
62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1-03 2618
628 생각의 정석 70회 오세 2015-03-14 2615
627 구조론을 배운 홍어 김동렬 2018-02-09 2614
626 얼룩말의 줄무늬 역할 김동렬 2018-09-13 2609
625 거시세계의 불연속성 image 2 chow 2023-01-30 2608
624 [제민] 꿈꾸는 자여 주인이 되어라 image ahmoo 2017-06-22 2599
623 정의의 낙차 개념 2 다음 2021-10-14 2591
622 오징어게임과 주식시장 - 고수가 이긴다 2 레인3 2021-10-04 2588
621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76
620 사유리의 무개념 image 1 김동렬 2018-01-16 2575
61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9-22 2573
618 환원주의 대 창발주의 image 1 다음 2020-08-17 2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