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일화 하나,

친구하나가 연락이 왔다. 6년만에 판사시험에 합격했다고. 만으로 서른둘. 나이란 상대적인것이지만, 이 거친 한국사회에서 그 좁은 문을 통과한걸 축하해주었다. 물론 상식과 정의에 입각한 법조인이 되길 당부하는것도 잊지 않았다. 우리 둘이, 십대에서 이십대초입에 만났으니, 10년 남짓의 세월을 그곳에 부운셈이다.

일화 둘,
국내 대기업의 상사에서 근무하는 친구가 출장차 워싱턴 디시에 왔다. 오랜만에 만나,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에 여념이 없었다. 아직 끊지 못한 담배와, 피로감으로 나에게 말을 건네는 친구의 모습이 유학생인 내가 보기에도 안스러워 보였다. 곧 결혼한다니 행복하기를...

일화 셋,
고3시절 마지막, 대학을 다 떨어지고 나서, 재수할 시절에, 열심히 해야한다고 남들이 말하던 그 시절에 미안하지만, 나는 교보문고 서가 1번 구석에 박혀서 신간도서를 헤아리고 있었다. '너도 할수 있다.',  '공부가 쉬웠어여',  '우리아들 이렇게 키웠다.' 같은 유치한 책들이 마구 마구 눈에 들어왔다. 나도 할수 있을것 같은 망상이 들면서도, 허무해지는 감정을 지울수 없었다. 그래서 피워댔던, 종로쪽 교보문고 출입구 바위 벤치였으리라....

일화가 아닌 현실. 그리고 한국의 이십대.
학교 선생님도 답해주지도 않고, 선배는 더 모르는, 그리고, 실은 자신도 알지못해 방황하는 '진로'에 대해서 '구조론'은 답해주어야한다. '시야', '만남', '길', '노력', '결실'이라는 추상화된 테마에서, 개인에게 연역된 삶의 도면이 제시되어야한다.

구조론이 20대초반의 한국 젊은이들에게 '냉전해체이후의 이 글로벌 다단계 시대에' 간절히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44
2047 부력은 결국 중력이더이다. 선풍기 2010-09-02 8300
2046 인류는 많지 않다. 칠십억도 그렇다 담 |/_ 2013-05-15 8296
2045 브레인스토밍은 효과가 없다. 5 김동렬 2013-10-16 8271
2044 문명과 지식 1 김동렬 2006-03-02 8186
2043 동렬님 1 송파노을 2006-02-22 8181
2042 돈있는 수구꼴통들은 죄가 없습니다 물론, image 가혹한너 2009-04-17 8176
2041 금강경 사구게 의미는? 17 김동렬 2013-03-03 8160
2040 남녀 뇌구조 차이 image 4 김동렬 2013-12-03 8104
2039 포지션 에너지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8-07 8096
2038 이상의 시가 어렵다? image 8 김동렬 2013-11-22 8082
2037 참고 살면 말이 많아진다. 오세 2010-07-25 8020
2036 튕김과 집착은 같은 것이다 3 오세 2010-07-25 7993
2035 인간에게 자유의지는 있는가? image 7 김동렬 2013-12-30 7981
2034 또 법륜 .. 화가 나는 이유 15 김동렬 2013-11-05 7962
2033 여성이 좋아할 만한 차 디자인 image 13 오세 2012-12-25 7927
2032 김대호소장의 글을 읽으면서 23 긴 호흡 2011-01-18 7925
2031 구조의 나무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08 7925
2030 맨밥 먹는 일본인들 image 17 김동렬 2016-09-21 7845
2029 정답 "닭이 먼저다"- 과학이 진도 나가오. 1 ░담 2010-07-15 7782
2028 럭셔리 골드미스 청담녀 image 12 양을 쫓는 모험 2010-03-17 7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