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일화 하나,

친구하나가 연락이 왔다. 6년만에 판사시험에 합격했다고. 만으로 서른둘. 나이란 상대적인것이지만, 이 거친 한국사회에서 그 좁은 문을 통과한걸 축하해주었다. 물론 상식과 정의에 입각한 법조인이 되길 당부하는것도 잊지 않았다. 우리 둘이, 십대에서 이십대초입에 만났으니, 10년 남짓의 세월을 그곳에 부운셈이다.

일화 둘,
국내 대기업의 상사에서 근무하는 친구가 출장차 워싱턴 디시에 왔다. 오랜만에 만나,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에 여념이 없었다. 아직 끊지 못한 담배와, 피로감으로 나에게 말을 건네는 친구의 모습이 유학생인 내가 보기에도 안스러워 보였다. 곧 결혼한다니 행복하기를...

일화 셋,
고3시절 마지막, 대학을 다 떨어지고 나서, 재수할 시절에, 열심히 해야한다고 남들이 말하던 그 시절에 미안하지만, 나는 교보문고 서가 1번 구석에 박혀서 신간도서를 헤아리고 있었다. '너도 할수 있다.',  '공부가 쉬웠어여',  '우리아들 이렇게 키웠다.' 같은 유치한 책들이 마구 마구 눈에 들어왔다. 나도 할수 있을것 같은 망상이 들면서도, 허무해지는 감정을 지울수 없었다. 그래서 피워댔던, 종로쪽 교보문고 출입구 바위 벤치였으리라....

일화가 아닌 현실. 그리고 한국의 이십대.
학교 선생님도 답해주지도 않고, 선배는 더 모르는, 그리고, 실은 자신도 알지못해 방황하는 '진로'에 대해서 '구조론'은 답해주어야한다. '시야', '만남', '길', '노력', '결실'이라는 추상화된 테마에서, 개인에게 연역된 삶의 도면이 제시되어야한다.

구조론이 20대초반의 한국 젊은이들에게 '냉전해체이후의 이 글로벌 다단계 시대에' 간절히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68
2150 좆의 어원 image 8 김동렬 2013-04-01 14879
2149 인종별 웃는 모습 image 김동렬 2016-08-15 14790
2148 감자탕은 감자뼈? 1 김동렬 2010-10-20 14768
2147 [질문] 왜 죽었다는 뜻으로 '깨(께)팔러 갔다'고 하는지? 10 우야산인 2009-08-13 14621
2146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58
2145 스노우보드 타는 요령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5 14309
2144 악어새의 환상 image 10 김동렬 2012-12-26 14078
2143 모순과 역설. 5 아제 2010-03-08 13510
2142 문제 - 돔 지붕의 딜레마 image 17 김동렬 2013-01-20 13494
2141 한비야의 40킬로가 무겁다? image 10 김동렬 2014-04-10 13317
2140 르네 마그리트 image 1 김동렬 2014-01-16 13050
2139 빈도주의 vs 베이즈주의 7 오세 2014-09-17 13036
2138 '차길진' 이라는 재미있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1 송파노을 2006-02-22 12694
2137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16
2136 인터뷰 질문 모집 67 김동렬 2009-09-16 12148
2135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710
2134 아라비아 숫자의 어원 image 2 김동렬 2014-06-17 11683
2133 언어 구조의 대강 image ░담 2010-05-19 11605
2132 키 큰 남자가 좋다? image 3 김동렬 2011-08-23 11523
2131 한국이 노벨상을 못 타는 이유 2 김동렬 2013-10-29 11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