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일화 하나,

친구하나가 연락이 왔다. 6년만에 판사시험에 합격했다고. 만으로 서른둘. 나이란 상대적인것이지만, 이 거친 한국사회에서 그 좁은 문을 통과한걸 축하해주었다. 물론 상식과 정의에 입각한 법조인이 되길 당부하는것도 잊지 않았다. 우리 둘이, 십대에서 이십대초입에 만났으니, 10년 남짓의 세월을 그곳에 부운셈이다.

일화 둘,
국내 대기업의 상사에서 근무하는 친구가 출장차 워싱턴 디시에 왔다. 오랜만에 만나,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에 여념이 없었다. 아직 끊지 못한 담배와, 피로감으로 나에게 말을 건네는 친구의 모습이 유학생인 내가 보기에도 안스러워 보였다. 곧 결혼한다니 행복하기를...

일화 셋,
고3시절 마지막, 대학을 다 떨어지고 나서, 재수할 시절에, 열심히 해야한다고 남들이 말하던 그 시절에 미안하지만, 나는 교보문고 서가 1번 구석에 박혀서 신간도서를 헤아리고 있었다. '너도 할수 있다.',  '공부가 쉬웠어여',  '우리아들 이렇게 키웠다.' 같은 유치한 책들이 마구 마구 눈에 들어왔다. 나도 할수 있을것 같은 망상이 들면서도, 허무해지는 감정을 지울수 없었다. 그래서 피워댔던, 종로쪽 교보문고 출입구 바위 벤치였으리라....

일화가 아닌 현실. 그리고 한국의 이십대.
학교 선생님도 답해주지도 않고, 선배는 더 모르는, 그리고, 실은 자신도 알지못해 방황하는 '진로'에 대해서 '구조론'은 답해주어야한다. '시야', '만남', '길', '노력', '결실'이라는 추상화된 테마에서, 개인에게 연역된 삶의 도면이 제시되어야한다.

구조론이 20대초반의 한국 젊은이들에게 '냉전해체이후의 이 글로벌 다단계 시대에' 간절히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62
206 밀도는 질의 성질이다. 5 아제 2010-08-24 6833
205 가벼운 것이 더 빨리 떨어진다? 17 김동렬 2014-11-09 6879
204 질문 - 의심과 믿음 image 21 김동렬 2013-01-16 6887
203 권태. 1 아제 2010-09-18 6888
202 -학부모에게 쓴 글- 창의란 무엇인가? 4 오세 2010-09-09 6897
201 노예의 길, 주인의 길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09-12-15 6902
200 여성 많은 집단이 문제해결력 높다 6 김동렬 2010-10-01 6904
199 교과목의 분류 3 LPET 2009-11-02 6925
198 그 변방세력이 주류를 치게 된 이유, 질문하기 ░담 2010-08-06 6925
197 오캄의 면도날 1 다원이 2010-09-28 6931
» 한국의 20대 초반 젊은이들에게 '구조론'이 말을 건다면. 눈내리는 마을 2010-02-22 6982
195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6990
194 페이스북에서 본 어이없는 글 2 오세 2013-08-21 6999
193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002
192 멈추지 말라. 5 아제 2010-07-18 7018
191 류시화이야기 펌 image 4 김동렬 2013-12-08 7038
190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생각의 힘. 6 오세 2009-10-15 7040
189 읍내리님께 image 1 김동렬 2009-04-09 7044
188 스타크래프트의 구조론적 해석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4-01 7052
187 해군되는것보다는 해적이 되는게 낫다 (It's better to be a pirate than to join the Navy. )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9-19 7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