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일화 하나,

친구하나가 연락이 왔다. 6년만에 판사시험에 합격했다고. 만으로 서른둘. 나이란 상대적인것이지만, 이 거친 한국사회에서 그 좁은 문을 통과한걸 축하해주었다. 물론 상식과 정의에 입각한 법조인이 되길 당부하는것도 잊지 않았다. 우리 둘이, 십대에서 이십대초입에 만났으니, 10년 남짓의 세월을 그곳에 부운셈이다.

일화 둘,
국내 대기업의 상사에서 근무하는 친구가 출장차 워싱턴 디시에 왔다. 오랜만에 만나,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에 여념이 없었다. 아직 끊지 못한 담배와, 피로감으로 나에게 말을 건네는 친구의 모습이 유학생인 내가 보기에도 안스러워 보였다. 곧 결혼한다니 행복하기를...

일화 셋,
고3시절 마지막, 대학을 다 떨어지고 나서, 재수할 시절에, 열심히 해야한다고 남들이 말하던 그 시절에 미안하지만, 나는 교보문고 서가 1번 구석에 박혀서 신간도서를 헤아리고 있었다. '너도 할수 있다.',  '공부가 쉬웠어여',  '우리아들 이렇게 키웠다.' 같은 유치한 책들이 마구 마구 눈에 들어왔다. 나도 할수 있을것 같은 망상이 들면서도, 허무해지는 감정을 지울수 없었다. 그래서 피워댔던, 종로쪽 교보문고 출입구 바위 벤치였으리라....

일화가 아닌 현실. 그리고 한국의 이십대.
학교 선생님도 답해주지도 않고, 선배는 더 모르는, 그리고, 실은 자신도 알지못해 방황하는 '진로'에 대해서 '구조론'은 답해주어야한다. '시야', '만남', '길', '노력', '결실'이라는 추상화된 테마에서, 개인에게 연역된 삶의 도면이 제시되어야한다.

구조론이 20대초반의 한국 젊은이들에게 '냉전해체이후의 이 글로벌 다단계 시대에' 간절히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83
2150 문제행동이 심한 학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을까? 2 이상우 2024-04-24 506
2149 나눗셈과 미분의 차이 chow 2024-04-14 513
214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4-02-14 536
2147 [사진포함] 함께 걸을까요! 조선일보처벌시민걷기대회 image 수원나그네 2024-03-11 544
2146 시민의회를 소개합니다. 수원나그네 2024-02-19 554
2145 촛불동지께 image 수원나그네 2024-04-09 558
2144 최병인 선생님 전시회 밀 image 5 김동렬 2024-05-13 561
2143 이제는 학교도 망하고 아이들도 망가진다. 이상우 2024-05-10 588
2142 인간교육 systema 2024-03-01 621
2141 나치 시절 나치에 반대하는 소수 독일인이 있었다면 무슨 정신으로 살아가야합니까 2 서단아 2024-04-30 658
2140 미분의 비밀 image chow 2024-04-12 709
2139 목요 정기 온 오프 모임 image 김동렬 2022-05-19 833
213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1-31 841
2137 랜덤의 이유 chowchow 2022-05-18 890
2136 목요 정기 온 오프라인 모임 image 김동렬 2022-05-12 906
2135 목요 격주 온오프 모임 image 김동렬 2022-06-02 909
2134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11 909
2133 교육은 진보하되 퇴보하지 않는다 1 이상우 2022-05-27 917
2132 목요 정기 온 오프라인 모임 image 김동렬 2022-04-27 933
2131 가속 진화의 이유 외 chow 2022-06-08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