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잡스도, 건희도, 몽구도 분발하오.

컴이 나에게로 와 나의 역할을 나누어 사오.
개인컴 이라면 이래야 하오.

개인카 라면 이래야 한다도 나와 줘야 하오.

기대하오.

바탕소 자게에서 재펌  : 아무님의 정신 번쩍나는 시청평 있소^^>


(위에 view subtitles를 클릭하면 한국어 자막을 켤 수 있다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0.02.19 (09:24:57)

데이비드 카퍼필드 형은 딱하게 되었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0.02.19 (11:23:22)

그닥... 끌리지 않소.
그것이 시작이 되어서 어떻게 더 발전할지는 모르지만...
왠지 사람을 위한 컴퓨터라기보다는 컴퓨터를 위한 사람이라는 느낌이오.
작동하는데 힘이 많이 들어가있소. 손동작을 자세히 보면 손가락 마디마디에 힘이 잔뜩 들어가있소.
아이디어는 신선하긴 하지만 힘이 많이 들어가면 귀찮아서 안하게 된다오.

카퍼필드도 분발해야 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10.02.19 (13:07:21)

^^ 잡스와 건희에게 아직 시간이 있는 이유죠.
이 방향이 일정 규모 이상의 사람을 끄는 때가 오면, 분발해도 늦소.

잡스나 건희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안하는 것을 저 인도출신 청년이 치고 나간다는 거.

저 청년이 구조를 좀 안다는 거.
개인컴은 저래야 했었소.

처음 설정을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본체로 한 거.
그 결을 따라 잡스도 건희도 걍 달리다 번쩍한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10.02.19 (19:01:56)

한다 (O)면, 하는 거요. 확인하면 그만.
사람이 뭔가 한다는 건 (의사O, 능력O)
기회는 안한다에 있소. 혁명, 혁신, 개혁, 개선 다 안한다에서 나오.

안한다(의사X, 능력O), 못한다는(의사O or X, 능력X)

못하던 걸 하게되는 일은 엄밀히 보면 없소. 있으면 기적이오. 대개는 착각.

기회는 안하는 것에 있소. 능력이 있으나 의사가 없는 것. 아이디어 없는 것. 욕망이 없는 것. 안목 없음, 감 없음.

안하는 것에는 나름 이유가 있게 마련이오.
안하는 것을 하는 것은 시작이 미미하오. 별거 없어 보이오.
그러나 보이는 게 다가 아니오.

가끔식 진짜가 나오오.

세상을 송두리째 바꾸는 진짜가 나오오.
일이 난 것.

안하는 목록에 민감해야 뭘 아는 거.
끝까지 달려 안하는 근본을 짚어 두는 것.
짚다보면 기회가 보이오.

무진장의 문짝이 열리오. 무한에 가까운 에너지의 샘이 열리오.
전에 없던 세상이 열리오.

아래 영상은 세상을 울리는 넘이 눈의 띄여 올려 보오.

동영상 바로가기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36
2053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253
2052 관계와 소통 완벽정리 1 기준님하 2009-07-21 4640
2051 하나의 일을 완성하는 원리 6 이기준 2009-07-21 4704
2050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16
2049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13
2048 사회체제 속에 숨은 진실 1 기준님하 2009-07-23 4509
2047 이 세상은 왜 혼란스러운가 2 기준님하 2009-07-23 4495
2046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5005
2045 구조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론 3 오세 2009-07-24 5551
2044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방법 3 기준님하 2009-07-24 5135
2043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80
2042 신기술 세력이 주종 관계를 극복해야 한다. 3 기준님하 2009-07-25 6359
2041 인터넷, 인류 진보. ░담 2009-07-27 6294
2040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서 알림 1 기준님하 2009-07-29 5227
2039 구조론적인 사고법 3 김동렬 2009-07-29 6202
2038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719
2037 [질문] 왜 죽었다는 뜻으로 '깨(께)팔러 갔다'고 하는지? 10 우야산인 2009-08-13 14649
2036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09-08-28 6173
2035 굿바이 송진우 눈내리는 마을 2009-08-31 5788
2034 조형창작교육 개괄 3 ahmoo 2009-09-08 4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