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잡스도, 건희도, 몽구도 분발하오.

컴이 나에게로 와 나의 역할을 나누어 사오.
개인컴 이라면 이래야 하오.

개인카 라면 이래야 한다도 나와 줘야 하오.

기대하오.

바탕소 자게에서 재펌  : 아무님의 정신 번쩍나는 시청평 있소^^>


(위에 view subtitles를 클릭하면 한국어 자막을 켤 수 있다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0.02.19 (09:24:57)

데이비드 카퍼필드 형은 딱하게 되었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0.02.19 (11:23:22)

그닥... 끌리지 않소.
그것이 시작이 되어서 어떻게 더 발전할지는 모르지만...
왠지 사람을 위한 컴퓨터라기보다는 컴퓨터를 위한 사람이라는 느낌이오.
작동하는데 힘이 많이 들어가있소. 손동작을 자세히 보면 손가락 마디마디에 힘이 잔뜩 들어가있소.
아이디어는 신선하긴 하지만 힘이 많이 들어가면 귀찮아서 안하게 된다오.

카퍼필드도 분발해야 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10.02.19 (13:07:21)

^^ 잡스와 건희에게 아직 시간이 있는 이유죠.
이 방향이 일정 규모 이상의 사람을 끄는 때가 오면, 분발해도 늦소.

잡스나 건희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안하는 것을 저 인도출신 청년이 치고 나간다는 거.

저 청년이 구조를 좀 안다는 거.
개인컴은 저래야 했었소.

처음 설정을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본체로 한 거.
그 결을 따라 잡스도 건희도 걍 달리다 번쩍한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2010.02.19 (19:01:56)

한다 (O)면, 하는 거요. 확인하면 그만.
사람이 뭔가 한다는 건 (의사O, 능력O)
기회는 안한다에 있소. 혁명, 혁신, 개혁, 개선 다 안한다에서 나오.

안한다(의사X, 능력O), 못한다는(의사O or X, 능력X)

못하던 걸 하게되는 일은 엄밀히 보면 없소. 있으면 기적이오. 대개는 착각.

기회는 안하는 것에 있소. 능력이 있으나 의사가 없는 것. 아이디어 없는 것. 욕망이 없는 것. 안목 없음, 감 없음.

안하는 것에는 나름 이유가 있게 마련이오.
안하는 것을 하는 것은 시작이 미미하오. 별거 없어 보이오.
그러나 보이는 게 다가 아니오.

가끔식 진짜가 나오오.

세상을 송두리째 바꾸는 진짜가 나오오.
일이 난 것.

안하는 목록에 민감해야 뭘 아는 거.
끝까지 달려 안하는 근본을 짚어 두는 것.
짚다보면 기회가 보이오.

무진장의 문짝이 열리오. 무한에 가까운 에너지의 샘이 열리오.
전에 없던 세상이 열리오.

아래 영상은 세상을 울리는 넘이 눈의 띄여 올려 보오.

동영상 바로가기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37
2073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884
2072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409
2071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83
2070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69
2069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67
2068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22
2067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66
2066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16
2065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857
2064 구조론으로 가짜 미네르바 증명하기. 9 양을 쫓는 모험 2009-07-12 4614
2063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18
2062 에너지의 조달방법?? 4 천왕성 편지 2009-07-12 4542
2061 독배 혹은 독백 2 마법사 2009-07-13 4274
2060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54
2059 <상상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마법사 2009-07-13 4619
2058 '어떻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구조론291~300p 관련) 7 통나무 2009-07-13 4563
2057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54
2056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23
2055 페미니즘 image 2 꾸이맨 2009-07-20 4818
2054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