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799 vote 0 2017.01.02 (14:19:06)



엔크로마 색각이상 교정안경


http://www.ytn.co.kr/_ln/0104_201607100643400671


깨달음은 색맹이 처음 색을 본 것과 같소. 링크한 기사의 형제는 전색맹인듯.


ㅋ.jpg


여자는 꽃을 좋아해서 색깔을 잘 구분하는듯. 여자는 색맹이 거의 없고 남자는 색각이상이 5퍼센트인데 대부분 녹색약.. 녹색약이면 신호등은 무리없이 구분할 수 있겠소. 


z.jpg


색각이상이 만화를 그리면? 중간색이 없어서 그런지 뭔가 강렬해지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7.01.02 (22:30:55)


http://enchroma.com/test/instructions/

제품 구매전에 테스트 해보는 페이지가  있어서 테스트 해봤는데


정상이라 살 필요 없다고 나오는군요. 


색약 검사처럼 깨달음약 검사는 어디 없나.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7.01.02 (22:31:42)

색맹이나 색약인 사람은 시신경이 처리할 수 있는 빛의 총량이 적은게 아닐까 합니다. 

실제로 교정 안경을 써도 여전히 문제가 되는게 보라색이라고 하네요. 

http://m.blog.naver.com/kcdpark/220256243089


보라색은 자외선 쪽이라 단파장이고 이는 높은 에너지라 할 수 있으므로, 

시신경에 강한 자극을 줄 것이고, 보라색 등을 보아 강한 자극에 활성화된 시신경은 

처리 총량을 해당 색에만 다 소모한다는 논리입니다. 


교정 안경이 선그라스 처럼 보이는 이유는 단파장의 빛을 차단하고자 단파장 흡수 코팅제를 발랐을듯.

그러므로 색맹인 사람이 일반 선그라스를 쓰더라도 사물의 색을 구분을 잘 할듯 하네요. 


실제로 여름에 선그라스 쓰면 사물이 뚜렷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고 하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266
1975 바이든도 사정이 있다 chow 2022-06-23 1860
1974 경기부양 전략 레인3 2022-06-23 1491
1973 차원으로 생각하기 image chow 2022-06-18 1540
1972 인문학의 빈곤 dksnow 2022-06-17 1628
1971 수학의 본질, 순간변화율 image 1 chow 2022-06-17 1396
1970 역설에 따른 노래 이전의 발성에 관한 이야기 SimplyRed 2022-06-16 1098
196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2-06-16 1033
1968 한국어의 힘 image 김동렬 2022-06-14 1335
1967 '출산정책의 실패' 에 덧붙여 8 dksnow 2022-06-10 1633
1966 개구리 소년 흉기는? image 10 김동렬 2022-06-10 1544
1965 확실성의 구조론과 불확실성의 엔트로피 image chow 2022-06-09 1407
1964 가속 진화의 이유 외 chow 2022-06-08 997
1963 버니어캘리퍼스 image chow 2022-06-08 1049
1962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역할 (환빠는 알아서 꺼져주길) dksnow 2022-06-08 1110
1961 탈냉전의 청구서 dksnow 2022-06-08 992
1960 인간과 알파고, 까마귀 chow 2022-06-06 1038
1959 인간은 권력하지 않는다 chow 2022-06-03 1034
1958 선거 후기 1 레인3 2022-06-02 1206
1957 목요 격주 온오프 모임 image 김동렬 2022-06-02 961
1956 곡성과 라쇼몽, 아킬레스와 거북이, 상대성이론 chow 2022-05-31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