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란
read 3391 vote 0 2008.12.30 (22:29:10)

 

누구나 행복을 추구한다.

그러나 행복를 추구함으로써 도리어 불행해진다.

행복을 추구하는 한 불행해질 수 밖에 없다.

‘행복의 조건’들을 전제해 놓고 있기 때문이다.

‘나라면 이러한 상황에서 행복을 느낄 것이다’ 하고

정해놓고 있는 한 진정으로 행복해질 수는 없다.

무엇인가? 사람들이 말하는 행복이란건

어떤 의미에서의 ‘보상’을 의미하기 쉽다.

그렇다. 보상하려는 것이다.

그 밑바닥에 명백히 보상심리가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보상한다는건? 조건이 걸려 있다는 것이다.

투자한 만큼, 기여한 만큼, 고생한 만큼의 반대급부를 구하기.

무엇인가? 사람들은 자기 자신에게 상을 주려는 것이다.

그것을 행복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조건을 거는 한 인간은 행복해질 수 없다.

상대가 있는 게임을 벌이는 한 진정으로 행복해질 수 없다.

행복이 한 걸음 내딛을 때 마다

불행도 한 걸음 쫓아오기 마련이다. 그 보상의 조건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행복이 아닌 ‘완성’을 추구해야 한다.

이 순간을 ‘완성’시키기다.

매 순간 주어진 상황에서의 포즈를 완성시키기다.

자연에서는 자연과 일체가 되는 방법으로 자연의 초대를 완성하기다.

뜰에서는 햇볕과 바람과 잔디와 일체가 되는 방법으로

그 가을 속으로의 화려한 방문을 완성시키기다.

언제든 그대가 머무르는 모든 장소에서

순간의 완성을 성공시킬 수 있다면 행복은 그 가운데 있다.

인간이 꿈 꾸는 행복이란 것.

어쩌면 인간이 추구하는 것은 보상이다.

어떤 보상들이 있을까?

쾌감을 구하는 본능의 보상

소유를 구하는 욕망의 보상, 즐거움을 구하는 열정의 보상

그리고 꿈이 이루어지는 이상의 보상들이 있다면

진정한 것은 신과 친구가 되는 영혼의 보상이겠다.

신의 창조에 가담한 이가 그 체험의 공유로 하여 신과 하나되는 체험.

매 순간 그 순간을 완성함으로써

신의 창조에 가담하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50 깨달음을 구하는 이유는? 김동렬 2008-12-30 3291
49 존 레넌의 Imagine에서 김동렬 2008-12-30 2899
48 신과 나 김동렬 2008-12-30 3516
47 신과 나눌 이야기 2 김동렬 2008-12-30 3727
46 환멸 그 이후 김동렬 2008-12-30 2708
45 가치의 언어들 김동렬 2008-12-30 2898
44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에 의하면 김동렬 2008-12-30 7340
43 해부학적인 의미에서의 깨달음 김동렬 2008-12-30 3121
42 20세기 들어 혁명이 일어난 나라들의 공통점 김동렬 2008-12-31 2932
41 마흔 고개를 넘으면서 김동렬 2008-12-31 3365
40 나쁜 남자의 엔딩 김동렬 2008-12-31 3649
39 ● 마음보고 반하기 김동렬 2008-12-31 3140
38 멀린스키 드라마 김동렬 2008-12-31 3187
37 구원 김동렬 2008-12-31 2866
36 사랑은 구원이다 김동렬 2008-12-31 3125
35 구원에 대하여 김동렬 2008-12-31 2926
34 부자와 어부 김동렬 2008-12-31 4971
33 사랑은 깨달음이다 김동렬 2008-12-31 2953
32 원하는게 뭐야? 김동렬 2008-12-31 3349
31 단어들 김동렬 2008-12-31 2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