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167 vote 0 2016.12.05 (11:01:53)

    깨달음은 

    ‘눈에 보여지는 것’을 넘어
    배후에서 ‘작용하는 것’을 보는 역설이며
    다시 그 역설을 넘어
    배후의 배후라 할 ‘에너지의 방향성’을 보는 이중의 역설이며
    그 에너지와 그 에너지에 의해 작용하는 존재와
    그 존재에 반응하여 인간의 신체감관에 인식되는 사실 사이의
    메커니즘을 보는 것이며 그 메커니즘이 일하는 즉
    의사결정관계를 보는 것이다.
    사건을 보는 눈을 얻어 그 사건을 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무질서에서 질서를 유도할 수 있고 그 질서를 통해 이익을 얻어낼 수 있다.


    1) 에너지.. 사건의 바운더리를 결정하니 계를 이룬다.
    2) 물질.. 사건의 시작점을 결정하니 축과 대칭의 구조를 이룬다.
    3) 공간.. 사건의 공간적 진행방향을 결정하니 대칭을 작동시킨다.
    4) 시간.. 사건의 시간적 진행순서를 결정하니 변화로 나타난다.
    5) 정보.. 사건에 따른 감각반응이니 뇌에 기록되는 데이터다.



555.jpg


    세상은 뭐든 나빠집니다. 마이너스입니다. 그렇게 빠져나간 만큼 반대편 어딘가에 더해지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그 빠져나간 부스러기들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071
3777 자연법칙의 이해 2 김동렬 2014-09-15 6065
3776 대결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4-21 6068
3775 빚이 있어야 경제가 발전한다 4 김동렬 2018-08-30 6071
3774 시간여행의 딜레마 image 김동렬 2014-11-20 6074
3773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079
3772 진화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9-22 6081
3771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081
3770 동의 동을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1-04 6082
3769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4-09-08 6093
3768 사건을 일으키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5-01-06 6093
3767 선진국이 되면 행복해질까? 3 김동렬 2018-08-20 6094
3766 구조론 사람 1 김동렬 2018-08-02 6096
3765 비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1-02 6100
3764 불쾌한 골짜기의 권력의지 image 김동렬 2020-11-10 6103
3763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3-05 6105
3762 더 높은 층위의 세계가 있다 image 3 김동렬 2016-04-19 6105
3761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6107
3760 한국이 강한 이유 image 김동렬 2016-06-07 6109
3759 방향성으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5-01-02 6111
3758 소크라테스의 해명 image 3 김동렬 2015-01-19 6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