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936 vote 1 2016.11.23 (16:47:09)

 

   
    인간들에게는 실망한지 오래다. 제법 아는척 하는 사람도 있으나 그들에게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은 내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문제를 그들이 거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을 먼저 이야기해야 한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공자의 말이 멋지다. 그런 이야기를 해야 한다. 씩씩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 피가 끓어오르는 이야기, 가슴이 뛰는 이야기를 해야 한다.


    나는 아직 보지 못했다. 다들 시시한 이야기나 하더라. 70억 중에 한 명쯤 있을 것도 같은데 내가 찾는 진짜는 없더라.


    대화가 통해야 한다. 너와 나 사이의 경계를 정해야 대화에 착수할 수 있다. 친한 형제와의 대화는 실무적이다. 동료직원과의 업무에 관한 대화나 부부 사이의 대화라도 그렇다. 내가 대화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화제거리에 끌려가게 된다.


    ‘오늘 밥 맛있었지?’ ‘그래 맛있었어.’ 서로 맞장구 쳐주기로 합의가 되어 있다. 물론 ‘오늘 날씨 좋지!’ 하고 인사하면 ‘좋기는 뭐가 좋아! 흐리잖아. 저 구름 안보여?’하고 시비거는 삐딱이도 있다. 역시 딴지맨으로 자기 캐릭터를 정한 거다.


    다들 집단 안에서의 역할에 갇혀 있으니 대화는 뻔하게 굴러간다. 시시하다는 말이다. 멀리서 찾아온 손님과의 의기투합하는 대화라야 한다. 약간의 긴장을 배경음악으로 깔아주고 상대의 심중을 넌지시 떠보는 코스도 있어야 한다.


    적당한 정도의 밀당이라면 나쁘지 않다. 의례적인 정중함 이후에 주거니 받거니 하며 점차 상호작용이 긴밀해져야 한다. 천하를 엎어먹는 역적모의를 해야 한다.


    유비, 관우, 장비의 만남과 같은. 제갈량과의 융중에서의 만남과 같은. 나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상대방의 모든 것을 끌어내는 그런 만남, 그런 대화는 참으로 드물다.


   555.jpg


    친구 좋아하는 사람을 나는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은 일상의 반복되는 역할 속에 자신을 가두는 사람입니다. 인간은 언제라도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친구와의 뻔한 레파토리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는 거죠. 그 결과는 나빠집니다. 점차 무례해지고 무감각져서 날로 변하는 세상의 생장점과 균열을 일으킵니다. 낯선 것이 더욱 낯설어지면 결국 익숙한 쪽으로만 가게 됩니다. 낯선 사람과의 어색하고 불안한 지점을 과단성있게 통과해야 진짜 이야기가 시작되는 거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59
3181 구조론 개괄 image 김동렬 2016-11-14 10521
3180 이상주의는 살아있다. image 김동렬 2016-11-15 10735
3179 구조주의 언어학 image 김동렬 2016-11-16 11667
3178 정치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11-19 11105
3177 관점을 깨닫고 보자. image 김동렬 2016-11-21 11236
3176 복잡에서 단순으로. image 김동렬 2016-11-22 11173
3175 게임의 문제 김동렬 2016-11-22 11498
» 의기투합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16-11-23 11936
3173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746
3172 권력의 시장원리 image 김동렬 2016-11-26 12010
3171 에너지를 통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11-28 11905
3170 질문하지마라 image 김동렬 2016-12-01 12385
3169 깨달음의 눈 image 김동렬 2016-12-05 12122
3168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7 김동렬 2016-12-08 12677
3167 구조론 5분 스피치 image 김동렬 2016-12-14 12608
3166 당신도 직관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2-16 12469
3165 왜 이 시대에 공자인가? image 2 김동렬 2016-12-20 12098
3164 부름에 응답하라 image 김동렬 2016-12-21 12340
3163 자로는 초딩이다 image 9 김동렬 2016-12-26 14650
3162 응답하라 인간들아! image 3 김동렬 2016-12-28 1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