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989 vote 1 2016.11.23 (16:47:09)

 

   
    인간들에게는 실망한지 오래다. 제법 아는척 하는 사람도 있으나 그들에게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은 내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문제를 그들이 거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을 먼저 이야기해야 한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공자의 말이 멋지다. 그런 이야기를 해야 한다. 씩씩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 피가 끓어오르는 이야기, 가슴이 뛰는 이야기를 해야 한다.


    나는 아직 보지 못했다. 다들 시시한 이야기나 하더라. 70억 중에 한 명쯤 있을 것도 같은데 내가 찾는 진짜는 없더라.


    대화가 통해야 한다. 너와 나 사이의 경계를 정해야 대화에 착수할 수 있다. 친한 형제와의 대화는 실무적이다. 동료직원과의 업무에 관한 대화나 부부 사이의 대화라도 그렇다. 내가 대화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화제거리에 끌려가게 된다.


    ‘오늘 밥 맛있었지?’ ‘그래 맛있었어.’ 서로 맞장구 쳐주기로 합의가 되어 있다. 물론 ‘오늘 날씨 좋지!’ 하고 인사하면 ‘좋기는 뭐가 좋아! 흐리잖아. 저 구름 안보여?’하고 시비거는 삐딱이도 있다. 역시 딴지맨으로 자기 캐릭터를 정한 거다.


    다들 집단 안에서의 역할에 갇혀 있으니 대화는 뻔하게 굴러간다. 시시하다는 말이다. 멀리서 찾아온 손님과의 의기투합하는 대화라야 한다. 약간의 긴장을 배경음악으로 깔아주고 상대의 심중을 넌지시 떠보는 코스도 있어야 한다.


    적당한 정도의 밀당이라면 나쁘지 않다. 의례적인 정중함 이후에 주거니 받거니 하며 점차 상호작용이 긴밀해져야 한다. 천하를 엎어먹는 역적모의를 해야 한다.


    유비, 관우, 장비의 만남과 같은. 제갈량과의 융중에서의 만남과 같은. 나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상대방의 모든 것을 끌어내는 그런 만남, 그런 대화는 참으로 드물다.


   555.jpg


    친구 좋아하는 사람을 나는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은 일상의 반복되는 역할 속에 자신을 가두는 사람입니다. 인간은 언제라도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친구와의 뻔한 레파토리가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는 거죠. 그 결과는 나빠집니다. 점차 무례해지고 무감각져서 날로 변하는 세상의 생장점과 균열을 일으킵니다. 낯선 것이 더욱 낯설어지면 결국 익숙한 쪽으로만 가게 됩니다. 낯선 사람과의 어색하고 불안한 지점을 과단성있게 통과해야 진짜 이야기가 시작되는 거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0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33
2659 Re.. 누가 이회창과 악수하며 손톱으로 긁었냐? 김동렬 2002-12-09 11877
2658 0 아니면 1, 모 아니면 도 image 4 김동렬 2013-01-09 11882
2657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 image 8 김동렬 2015-02-15 11882
2656 지성의 역사(추가버전) image 7 김동렬 2010-09-26 11883
2655 선비는 미학으로 말한다 image 3 김동렬 2018-05-01 11887
2654 마음은 어디서 나왔는가? image 19 김동렬 2012-12-28 11889
2653 좌절감을 느낄 때 image 7 김동렬 2013-12-10 11891
2652 에너지의 세계관 image 김동렬 2017-11-02 11892
2651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0 11893
2650 역사의 원동력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8-04-15 11893
2649 구조론과 깨달음 김동렬 2008-08-27 11901
2648 에너지를 이해하라 image 2 김동렬 2017-10-25 11901
2647 계로 시작하라 image 김동렬 2018-01-29 11902
2646 왜 소통이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7-04-11 11904
2645 정동영, 김근태 위화도 회군하나? 김동렬 2007-01-06 11908
2644 황진이 대 미녀는 괴로워 김동렬 2006-12-31 11909
2643 에너지는 연역이다. image 김동렬 2017-10-31 11928
2642 서프는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김동렬 2007-04-17 11930
2641 구조론은 깨달음이다. image 김동렬 2017-07-19 11932
2640 이야기 꾸미는 방법 image 10 김동렬 2012-01-03 1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