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572 vote 0 2016.11.22 (17:56:53)

     

    의사결정비용


    질량보존의 법칙과 엔트로피 법칙은 얼핏 모순되어 보인다. 양질전환을 해도 에너지 총량은 불변한다는 것이 1법칙인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다. 그런데 계 안에서 양질전환은 불가능하다는게 2법칙인 엔트로피 법칙이다. 


    비용문제 때문이다. 양질전환은 가능하지만 닫힌계 안에서는 불가능하다. 의사결정비용이 책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원권을 1천원권으로 교환이 가능하다는게 1법칙이면, 교환에 따른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게 2법칙이다. 


    질에서 량으로 갈때는 수수료 문제가 없다. 1만원권 1장을 1천원권 열장으로 바꾼다면 그 10장의 1천원권 중에서 한 장을 빼주면 된다. 그러나 1천원권 열장을 1만원권으로 바꿀 때는 수수료 지불이 불가능하다. 


    잔돈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엔트로피다. 의사결정은 반드시 비용을 청구한다. 게임은 두 가지가 있다. 세력전략을 쓰는 주최측의 게임과 생존전략을 쓰는 선수측의 게임이다. 주최측은 최선을 포기하고 차선을 얻는 방법으로 이익을 발생시킨다. 


    선수측은 최악을 회피하고 차악을 얻는 방법으로 이익을 발생시킨다. 둘 다 이득을 얻지만 주최측의 이득이 크다. 선수측은 단지 손실을 줄였을 뿐 실익이 없다. 주최측과 선수측 사이에 발생하는 이익의 격차만큼 에너지 낙차가 발생한다. 


    게임은 에너지 낙차를 따라간다. 곧 에너지는 결따라가는 것이다. 도자기를 좁쌀로 바꾸는 사람은 문제가 없다. 좁쌀 한 줌을 수수료로 떼주면 된다. 좁쌀을 도자기로 바꾸는 사람은 곤란하다. 도자기를 한 줌 떼줄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들은 외상거래를 한다든가 등으로 이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갖고 있지만 톱니바퀴처럼 꽉 끼어 돌아가는 자연은 단순무식하므로 이것이 큰 문제가 된다. 자연은 융통성이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8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32
2799 고흐와 고갱(수정함) image 김동렬 2006-12-04 11412
2798 한국은 잘하고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11-05 11416
2797 정형근특명 "노무현을 제거하라" 김동렬 2002-11-22 11417
2796 생각의 학문 image 7 김동렬 2013-05-06 11417
2795 존재불안의 극복 image 9 김동렬 2013-03-09 11421
2794 구조주의 교육론 7 김동렬 2011-04-20 11423
2793 신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8-04-16 11429
2792 구조는 목이다 김동렬 2008-01-18 11431
2791 사월은 잔인한 달 김동렬 2007-04-20 11439
2790 나의 사건을 일으켜라 image 김동렬 2018-04-28 11439
2789 질과 양의 관계 image 3 김동렬 2012-05-07 11440
2788 주객은 전도된다 image 6 김동렬 2013-04-14 11444
2787 국민배우 몰락의 법칙 김동렬 2007-01-04 11446
2786 돈 찍어내면 된다. 5 김동렬 2012-10-23 11447
2785 장자와 플라톤 image 1 김동렬 2018-04-19 11447
2784 이해하지 말고 반응하라 image 2 김동렬 2012-01-22 11451
2783 엮임으로 사유하라 image 3 김동렬 2013-05-13 11451
2782 손가락과 달 image 7 김동렬 2012-12-08 11452
2781 바람이 부는게 아니라 부는게 바람이다 image 2 김동렬 2018-03-29 11454
2780 이명박의 지지율이 꺾이는 시점은? 김동렬 2007-07-10 1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