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322 vote 0 2016.11.21 (21:39:22)

81.jpg

 


   
    관점의 발견 - 구조론은 관계로 본다


    세상은 관계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난다. 만물은 서로 붙잡고 의지하여 일어난다. 구조론은 그 만물의 서로 엮여있음을 본다. 그것이 관계로 보는 관점이다.


    세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두 가지 태도가 있다. 관계로 보는 방법과 반응으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에너지로 보는 방법과 물질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의사결정구조로 보는 방법과 신체감관에 입수된 인식내용으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사건으로 보는 방법과 물질 알갱이로 보는 방법이 그것이다.


    전자는 시작에 서서 끝을 순서대로 보고 후자는 끝에 서서 시작을 되짚어 본다. 전자는 전체에서 부분을 펼쳐보고 후자는 부분에서 전체를 뒤집어 본다. 서 있는 지점이 다르고 바라보는 지점이 다르다. 관측자가 서 있는 지점이 포지션이요 바라보는 지점이 관점이다. 구조론은 세상을 다른 방법으로 본다.


    관계로 보는 관점은 관측대상 그 자체에 내재한 질서로 보는 것이다. 반응으로 보는 관점은 인간의 눈코귀입몸으로 대상을 건드려 되돌아오는 반응을 보는 것이다. 관계로 보는 방법이 옳고 되돌아오는 반응으로 보는 방법은 틀렸다.


    눈코귀입몸으로 입수된 데이터는 하나의 단서일 뿐 그 자체로는 지식이 아니다. 반드시 해석이라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구조론의 방법을 써야 한다.


   555.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98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608
3748 상호작용으로 보라 image 4 김동렬 2014-12-31 9840
3747 나의 이야기 image 7 김동렬 2016-10-10 9834
3746 어린 신부 잔혹사(추가버전) 6 김동렬 2013-12-25 9832
3745 구조론은 쉽다 image 3 김동렬 2013-04-30 9819
3744 자연에 1은 없다 김동렬 2013-09-26 9810
3743 확실한 이야기 image 1 김동렬 2018-05-21 9809
3742 마르크스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3-05-31 9794
3741 왜 독일은 강한가? 1 김동렬 2018-06-08 9787
3740 파충류가 된 지식 김동렬 2006-04-22 9785
3739 영화 미스트의 부족민들 image 2 김동렬 2013-12-29 9776
3738 구조를 복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10-20 9774
3737 대승과 소승 10 김동렬 2014-01-28 9764
3736 깨달음과 무명 8 김동렬 2013-07-17 9760
3735 에너지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8-05-15 9758
3734 YES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3-09-04 9746
3733 약자를 위한 철학은 없다 1 김동렬 2018-06-12 9738
3732 무질서가 질서를 낳는다 1 김동렬 2013-07-11 9735
3731 연역하는 방법 추가 image 1 김동렬 2012-07-02 9733
3730 정의란 무엇인가? 6 김동렬 2014-02-04 9731
3729 이 시대에 스승은 누구인가? 4 김동렬 2013-12-02 9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