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841 vote 0 2016.11.15 (22:52:50)

     

    56) 꼬마가 구슬을 나눠주는 것은 협동정신이 아니라 권력지향적 행동이다.


    57) 인간 본성은 이기심이 아니라 집단을 상호작용을 지키는 권력지향이다.


    58) 인간의 권력지향은 정치권력의 추구가 아니라 의사결정권 행사에 있다.


    59) 값싼 물건을 찾는 것은 공급측 권력에 맞서는 재균형화 권력행동이다.

    60) 공급측 권력에 굴종하여 비싼 물건만 사는 탈균형화 권력행동도 있다.

    61) 명품만 찾는 탈균형화는 가난한 이 위에 군림하려는 권력적 기동이다.

    62) 인간의 모든 사회적 행동이 권력지향이나 권력을 내는 집단이 다르다.

    63) 인간은 개인 안에서, 자연에서, 가족에서, 패거리에서도 권력을 찾는다.

    64) 권력자에 대한 굴종행동도 집단의 권력을 보호하려는 권력적 기동이다.

    65) 대중은 집단 내부에서 권력의 실체가 사라져버리는데 공포심을 가진다.

    61) 지식은 네트워크에서 권력을 찾고 대중은 눈에 보이는 권력을 찾는다.

    62) 대중은 권위적 행사나 이벤트, 축제, 마녀소동 따위로 권력을 형성한다.

    63) 인류단위 대집단에서 권력을 찾느냐 소집단에서 찾느냐에 따라 다르다.

    64) 선악도 없고, 이성도 없고, 감정도 없고, 오로지 권력의 균형이 진짜다.

    65) 지식인은 언제라도 집단을 통제가능한 밸런스의 상태로 이끌어야 한다.

    66) 대집단의 의사결정을 주목하게 하여 소집단을 다스리는 것이 지성이다.

    67) 참된 진보는 남녀, 빈부, 노사, 동서 등 전방위적 동적균형을 추구한다.

    68) 동적균형은 기계적 균형이 아니라 움직임에 의한 가속도에서 균형이다.

    69) 강자와 약자가 똑같을 필요없으나 서로 제압가능한 긴장상태라야 한다.

    70) 여자와 남자가 똑같을 수 없으나 서로 제압이 가능한 긴장상태는 된다.

    71) 만인이 만인의 목줄을 틀어쥐고 긴장상태일 때 상호작용은 극대화된다.

    72) 모두가 만족하는 이상세계는 없으나 상호작용이 증가 중이면 양호하다.

    73) 행복을 찾지 말고 전방위적 균형과 상호작용 증가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74) 기계적인 이상사회는 없으나 에너지의 흐름이 순조로운 완전성은 있다.


555.jpg
   

    마음의 긴장이 이완된 나른한 꿈의 이상세계는 없으나 에너지가 들어오는 긴장된 현실의 이상세계는 있습니다. 눈 감고 이상세계를 꿈 꾸지 말고, 눈 뜨고 이상세계를 실천해야 합니다. 그것은 긴장되고 업된 상태, 활력있는 상태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49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447
3695 언어가 인간을 규정한다 image 14 김동렬 2015-09-29 6526
3694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10-01 5446
3693 두 번의 살인 image 김동렬 2015-10-02 5560
3692 교육의 정답은 물리적인 통제다(수정) image 4 김동렬 2015-10-03 7362
3691 북극의 북쪽에 무엇이 있을까? image 1 김동렬 2015-10-05 6110
3690 근대인의 사유 image 1 김동렬 2015-10-06 7262
3689 욕망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5-10-07 5752
3688 깨달음은 두 번 뒤통수를 친다 image 1 김동렬 2015-10-07 5509
3687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5-10-08 6227
3686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55
3685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38
3684 진리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10 5890
3683 구조론은 5로 해결한다 image 2 김동렬 2015-10-16 5000
3682 세상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10-20 5087
3681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150
3680 왜 엔트로피인가? image 2 김동렬 2015-10-21 4991
3679 신과 사탄이 싸우면 승자는? image 7 김동렬 2015-10-22 5947
3678 양자론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10-23 5142
3677 짧은 깨달음 image 김동렬 2015-10-24 5604
3676 짧지 않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25 5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