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035 vote 0 2016.11.13 (14:35:17)

http://v.media.daum.net/v/20161113135604376

 

    사랑이 만약 감정이라면, 얼굴 표정으로 나타내보라고 주문한다. 우리는 기쁘고 슬프고 분노하고 즐거운 감정은 얼마든지 얼굴 표정을 통해 표현할 수 있으며, (더욱 중요하게도) 남의 표정을 통해 상대의 그런 감정 상태를 읽어낼 수 있다. 설령 미국 사람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어린아이라 하더라도 찡그리는 미국인의 얼굴 표정을 통해 그가 화가 났다거나 슬프다는 감정을 읽어낼 수 있다. 이렇듯 인간은 자신의 원초적인 감정을 얼굴 표정이나 몸동작으로 나타내고 그것을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공교롭게도 사랑에 대응되는 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무도 사랑에 빠진 표정을 명확히 지을 순 없다. 나는 사랑학 수업시간에 종종 사랑에 빠진 표정을 지어보라고 학생들에게 주문하는데, 다들 난감한 표정을 짓는다.[기사원문]


zz.jpg 


이 표정은 뭐여? 


    ### 


    사랑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끌어내는 장치입니다. 의사결정은 계의 균일을 지향합니다. 즉 사랑은 균일을 지향합니다. 그러나 균일해질 수 없습니다. 동적균형이라는 거죠. 무슨 말인가 하면 갑순이와 을돌이가 사랑한다고 치고 반드시 기울어집니다. 저울은 수평이 아니라는 거지요. 왜냐하면 여자는 자신보다 더 나은 남자를 선택하려고 하고 미모를 업그레이드 한 다음에 나타나며 남자는 언제나 주제파악을 못하기 때문이지요. 결국 저울은 수평이 맞지 않으며 이때 낮은 쪽에서 높이 올라가려고 하며 이 행동이 저울을 다시 기울게 만들고 이 패턴이 반복되는 거지요. 


    1) 저울이 한 쪽으로 기운다. 2) 기울어진 쪽이 위로 한 칸 올라간다. 3) 저울이 수평에 이르는듯 하더니 다시 반대쪽으로 기운다. 3) 반대쪽이 위로 한 칸 올라간다. 4) 저울이 수평에 이르는듯 하더니 다시 반대로 기운다. 5) 이 과정을 무한반복.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6.11.13 (16:38:32)

이 장면의 가장 큰 모순은 박정희가 말하고 있는 자례에 박근혜가 최태민 교주만 보고 있다는 거죠.

경청의 기본은 말하는 사람과 눈을 마주치는 것인데, 도리어 다른 사람 얼굴을 보고 있다니...

사람이 한 사람만 바라본다는게 정상인지...

면대면 보고는 절대 불가능한 사람이 한 사람 얼굴은 뚫어져라 쳐다보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716
955 혼자 가기로 했다 2005 05 26 image 3 눈내리는 마을 2012-11-04 3268
954 생각의 정석 81회 오세 2015-06-08 3267
953 구조론적 공간 image 1 김동렬 2015-04-01 3264
952 생각의 정석 69회 오세 2015-03-06 3263
951 구조론 캠핑. 4 아제 2011-01-31 3261
950 핀란드로 볼때, 유목민 문화와 DNA 가 맞다 눈마 2016-04-10 3255
949 비대칭의 세계관 systema 2021-05-22 3254
948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9-06 3254
947 생각의 정석 98회 5 오세 2015-10-25 3251
94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3-09 3250
945 김어준과 구조론으로 놀다 -안현진 관리자* 2012-10-21 3249
944 구조론 연구 운영 제안 7 앤디 2016-09-02 3248
943 생각의 정석 129회 오세 2016-05-28 3246
942 물때표의 진실 image 김동렬 2018-11-20 3245
941 의도를 가지고 명명해야 한다. 2 김동렬 2014-10-28 3245
940 동지는 지났는데 일출은 더 늦다 김동렬 2015-12-31 3242
939 맥스웰 방정식 image 2 이금재. 2020-05-03 3239
938 푹신한 거 찾지마라. image chowchow 2022-01-20 3237
937 생각의 정석 107회 오세 2016-01-02 3237
936 얼룩말의 줄무늬 2 김동렬 2016-11-23 3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