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288 vote 0 2016.10.22 (17:30:02)

67.jpg


    밀도를 나타내는 질량이 같으면 부피를 보고, 부피가 같으면 너비를 보고, 너비가 같으면 길이를 보고, 길이가 같으면 숫자를 센다. 밀도가 가장 우선하는 판단이다. 보통은 그 반대로 점을 세려 하므로 망한다. 혹은 입체부터 시작하므로 망한다.


 

555.jpg

    계에 중첩에 의한 긴장이 걸린 정도를 보고 밀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고객충성도를 알 수 있고, 정치인에 대한 지지의 강도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열렬지지층을 알 수 있습니다. 가속도를 아는 자가 천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안철수와 반기문의 중도표는 언제든지 등돌 릴 수 있는 즉 에너지 밀도가 낮은 지지표이며 사실은 지지가 아니라 임시로 대기하는 정류장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09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037
» 밀도를 볼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0-22 10288
3833 상대성이 절대성이다. image 김동렬 2016-10-19 10288
3832 "인간이 그립다" 김동렬 2007-05-31 10287
3831 눈앞의 황금은 챙겨라 image 2 김동렬 2013-05-17 10279
3830 기본이 안된 분들께 image 9 김동렬 2013-06-30 10277
3829 의외성을 활용하라 image 3 김동렬 2013-06-19 10275
3828 구조론연구소의 방법 image 18 김동렬 2014-03-20 10264
3827 무신론자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8-05-14 10260
3826 입자와 파동 image 김동렬 2013-06-24 10258
3825 세 법 술의 경제학 1 김동렬 2013-02-15 10252
3824 구조론 개요 김동렬 2013-07-28 10247
3823 생각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3-08-28 10236
3822 기사도와 선비정신 image 1 김동렬 2018-05-18 10234
3821 사과는 어디에서 왔는가? 2 김동렬 2013-08-07 10229
3820 구조론의 최종결론 1 김동렬 2013-08-05 10229
3819 문희상의 사망선고 김동렬 2005-10-27 10223
3818 진화론과 창조론 image 8 김동렬 2013-08-20 10213
3817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5-12-27 10206
3816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8-27 10204
3815 깨달음의 언어 image 1 김동렬 2013-02-07 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