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489 vote 0 2016.10.21 (19:28:11)

65.jpg 66.jpg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에너지가 확산에서 수렴을 바뀐 상태다. 이 상태에서 마이너스로 가야 매개변수가 발견된다.


    두 입체가 한 점에서 충돌한다면 밀도다. 그때 한 점은 내부에 갇힌다. 그러므로 여섯째 지점은 없다. 이 상태에서 매개변수를 하나씩 제거한다. 사면체나 삼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것이든 당겨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선은 양끝단을 당겨서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점은 그 점을 지워서 없앨 수 있다.


555.jpg


    귀납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수학의 차원개념과는 다릅니다. 수학은 0차원과 4차원이 생겨 어리둥절하게 되었는데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매개변수 다섯 개를 지정할 뿐입니다. 내부가 균일한 계에 에너지가 입력되면 사건이 시작되는데 그 사건의 시작점을 찍은 것이 다섯째 지점입니다. 사건은 계가 깨지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568
3745 이제는 공간을 규명할 때 김동렬 2013-11-13 9860
3744 원형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2-06-11 9856
3743 인간은 다 바보다. image 20 김동렬 2016-08-18 9850
3742 상호작용의 세계관 image 5 김동렬 2013-06-04 9845
3741 왜 여성은 아름다운가? image 14 김동렬 2016-08-12 9827
3740 빛과 어둠의 이중성 image 9 김동렬 2014-04-15 9820
3739 구조를 사랑하라 image 3 김동렬 2012-07-04 9819
3738 변방에서 출현한 새로운 강자 집단 김동렬 2006-02-16 9818
3737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김동렬 2006-12-19 9817
3736 육체와 정신 김동렬 2013-07-16 9816
3735 게임의 지배 김동렬 2006-02-21 9801
3734 구조론 100문 100답 image 10 김동렬 2012-04-04 9798
3733 아멜리 노통브의 착각 image 3 김동렬 2014-10-01 9787
3732 구조냐 심조냐 image 12 김동렬 2013-07-01 9776
3731 예측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06-25 9776
3730 인문학의 탄생 image 7 김동렬 2013-04-01 9772
3729 나의 이야기 image 7 김동렬 2016-10-10 9770
3728 니체와 톨스토이 9 김동렬 2014-03-03 9769
3727 자연에 1은 없다 김동렬 2013-09-26 9759
3726 최장집의 호통개그 김동렬 2007-02-20 9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