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516 vote 0 2016.10.21 (19:28:11)

65.jpg 66.jpg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에너지가 확산에서 수렴을 바뀐 상태다. 이 상태에서 마이너스로 가야 매개변수가 발견된다.


    두 입체가 한 점에서 충돌한다면 밀도다. 그때 한 점은 내부에 갇힌다. 그러므로 여섯째 지점은 없다. 이 상태에서 매개변수를 하나씩 제거한다. 사면체나 삼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것이든 당겨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선은 양끝단을 당겨서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점은 그 점을 지워서 없앨 수 있다.


555.jpg


    귀납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수학의 차원개념과는 다릅니다. 수학은 0차원과 4차원이 생겨 어리둥절하게 되었는데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매개변수 다섯 개를 지정할 뿐입니다. 내부가 균일한 계에 에너지가 입력되면 사건이 시작되는데 그 사건의 시작점을 찍은 것이 다섯째 지점입니다. 사건은 계가 깨지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4272
3788 사랑은 둘의 경험이다. image 1 김동렬 2017-04-22 13354
3787 잔인한 만큼 사랑한다. image 1 김동렬 2017-04-21 13370
3786 당신은 이미 패배해 있다. image 2 김동렬 2017-04-20 13243
3785 왜 철학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4-18 12710
3784 에너지는 어디서 오는가? image 김동렬 2017-04-17 13367
3783 철학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04-16 12845
3782 인간에 대한 환멸과 구토 image 김동렬 2017-04-14 14242
3781 창의하는 방법 image 10 김동렬 2017-04-13 14732
3780 진화생물학이냐, 분자생물학이냐? image 1 김동렬 2017-04-11 13410
3779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image 1 김동렬 2017-04-08 13698
3778 관측자의 개입 image 1 김동렬 2017-04-07 12956
3777 행복의 비결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04-07 13521
3776 빠른 길은 직선이다. image 김동렬 2017-04-06 12488
3775 모든 이야기의 시작 image 8 김동렬 2017-04-05 13696
3774 기본의 기본을 검토하자 image 2 김동렬 2017-04-04 13211
3773 문재인 흙, 안희정 물, 이재명 불, 안철수 공기 image 김동렬 2017-04-03 13680
3772 프레임을 걸어 가둬라! image 김동렬 2017-04-03 12651
3771 행복의 비결 image 김동렬 2017-04-01 13572
3770 지구 둥글기 확인 image 1 김동렬 2017-03-31 12885
3769 구조론적 상황 image 1 김동렬 2017-03-29 12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