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463 vote 0 2016.10.21 (19:28:11)

65.jpg 66.jpg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에너지가 확산에서 수렴을 바뀐 상태다. 이 상태에서 마이너스로 가야 매개변수가 발견된다.


    두 입체가 한 점에서 충돌한다면 밀도다. 그때 한 점은 내부에 갇힌다. 그러므로 여섯째 지점은 없다. 이 상태에서 매개변수를 하나씩 제거한다. 사면체나 삼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것이든 당겨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선은 양끝단을 당겨서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점은 그 점을 지워서 없앨 수 있다.


555.jpg


    귀납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수학의 차원개념과는 다릅니다. 수학은 0차원과 4차원이 생겨 어리둥절하게 되었는데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매개변수 다섯 개를 지정할 뿐입니다. 내부가 균일한 계에 에너지가 입력되면 사건이 시작되는데 그 사건의 시작점을 찍은 것이 다섯째 지점입니다. 사건은 계가 깨지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778 상대성이론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8-05-16 10065
3777 사건소개 해도좋다. image 김동렬 2018-05-15 10061
3776 한니발과 스키피오 image 3 김동렬 2013-05-06 10059
3775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5-12-27 10059
3774 쓴 글 다시 쓰기 image 7 김동렬 2013-04-04 10055
3773 포지션에서 시스템까지 image 1 김동렬 2012-04-05 10040
3772 연역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7-01 10039
3771 그것은 없어도 그것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3-08-26 10028
3770 작은 전체 image 2 김동렬 2013-05-24 10022
3769 가능태와 현실태 김동렬 2018-06-06 10019
3768 김근태는 오늘도 안녕하신가? image 김동렬 2006-11-30 10015
3767 주체의 영역은? 1 김동렬 2013-08-06 10000
3766 시의 문법 김동렬* 2012-10-21 9990
3765 구조론과 양자역학 김동렬 2006-06-17 9990
3764 세상의 출발 image 2 김동렬 2013-11-04 9976
3763 구조론의 용도 김동렬 2007-11-01 9970
3762 자유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02-18 9966
3761 신 인간 믿음 완전성 상호작용 image 2 김동렬 2013-03-05 9954
3760 우주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3-11-22 9937
3759 우주는 도너츠다. image 2 김동렬 2016-10-07 9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