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474 vote 0 2016.10.21 (19:28:11)

65.jpg 66.jpg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에너지가 확산에서 수렴을 바뀐 상태다. 이 상태에서 마이너스로 가야 매개변수가 발견된다.


    두 입체가 한 점에서 충돌한다면 밀도다. 그때 한 점은 내부에 갇힌다. 그러므로 여섯째 지점은 없다. 이 상태에서 매개변수를 하나씩 제거한다. 사면체나 삼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것이든 당겨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선은 양끝단을 당겨서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점은 그 점을 지워서 없앨 수 있다.


555.jpg


    귀납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수학의 차원개념과는 다릅니다. 수학은 0차원과 4차원이 생겨 어리둥절하게 되었는데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매개변수 다섯 개를 지정할 뿐입니다. 내부가 균일한 계에 에너지가 입력되면 사건이 시작되는데 그 사건의 시작점을 찍은 것이 다섯째 지점입니다. 사건은 계가 깨지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486
3201 선이 굵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3-12-21 9360
3200 소니의 전략은 정말 멍청했다 7 김동렬 2014-04-20 9365
3199 상호작용의 세계관 image 6 김동렬 2013-06-27 9367
3198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3 김동렬 2018-07-11 9368
3197 섬진강 김용택 다목리 이외수 김동렬 2006-11-14 9375
3196 정상을 포착하라 1 김동렬 2014-01-18 9375
3195 구조론 독자 여러분께 image 3 김동렬 2013-12-13 9381
3194 깨달음 A에서 김동렬* 2012-10-21 9386
3193 나쁜 사람은 있다 김동렬 2018-05-31 9394
3192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396
3191 제논의 궤변 image 1 김동렬 2016-10-11 9399
3190 작더라도 전체를 먼저 완성해야 한다. 2 김동렬 2018-05-30 9405
3189 진보는 웃음이다. image 6 김동렬 2013-04-26 9406
3188 인간은 왜 사는가? image 김동렬 2016-05-09 9436
3187 생각의 집을 짓자 7 김동렬 2013-07-07 9437
3186 구조가 싫은 분들께 19 김동렬 2012-06-30 9441
3185 절대어사전 김동렬 2013-07-16 9441
3184 모든 이야기의 시작 6 김동렬 2018-06-14 9456
3183 러닝 피라미드 image 4 김동렬 2018-08-06 9463
3182 마르크스와 케인즈 극복하기 9 김동렬 2014-01-05 9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