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481 vote 0 2016.10.21 (19:28:11)

65.jpg 66.jpg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에너지가 확산에서 수렴을 바뀐 상태다. 이 상태에서 마이너스로 가야 매개변수가 발견된다.


    두 입체가 한 점에서 충돌한다면 밀도다. 그때 한 점은 내부에 갇힌다. 그러므로 여섯째 지점은 없다. 이 상태에서 매개변수를 하나씩 제거한다. 사면체나 삼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것이든 당겨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선은 양끝단을 당겨서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점은 그 점을 지워서 없앨 수 있다.


555.jpg


    귀납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수학의 차원개념과는 다릅니다. 수학은 0차원과 4차원이 생겨 어리둥절하게 되었는데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매개변수 다섯 개를 지정할 뿐입니다. 내부가 균일한 계에 에너지가 입력되면 사건이 시작되는데 그 사건의 시작점을 찍은 것이 다섯째 지점입니다. 사건은 계가 깨지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118
3224 대칭은 특이점의 공유다 image 김동렬 2013-11-05 9201
3223 구조론으로 본 진화원리 김동렬 2007-02-04 9204
3222 기본원리 image 김동렬 2013-11-07 9205
3221 세상은 빵에서 나와 빵으로 돌아간다. image 김동렬 2016-10-12 9217
3220 역학으로 본 진보와 보수 image 김동렬 2018-05-29 9221
3219 생각을 잘 하는 방법 image 5 김동렬 2015-05-06 9228
3218 파리대왕의 나라 8 김동렬 2014-01-17 9229
3217 깨달음은 이미지다 김동렬* 2012-10-21 9237
3216 기다림이 있어야 한다. image 4 김동렬 2014-05-08 9255
3215 게임은 시작되었다. image 1 김동렬 2016-10-17 9263
3214 유가 강을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3-06-11 9264
3213 왜 깨달음인가? image 3 김동렬 2013-12-19 9267
3212 구조주의 논리학 김동렬 2008-06-18 9272
3211 한국의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수정) 김동렬 2007-07-12 9275
3210 진보의 반대는 반동? 퇴보? 김동렬* 2012-10-21 9293
3209 그림으로 다시보기 image 김동렬 2016-10-19 9294
3208 창의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5-05-10 9298
3207 답은 시간 속에 있다. 3 김동렬 2014-01-24 9301
3206 의사결정원리로 설명한다. image 2 김동렬 2015-06-25 9315
3205 사건은 아래로 흐른다 1 김동렬 2013-12-06 9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