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534 vote 0 2016.10.21 (19:28:11)

65.jpg 66.jpg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에너지가 확산에서 수렴을 바뀐 상태다. 이 상태에서 마이너스로 가야 매개변수가 발견된다.


    두 입체가 한 점에서 충돌한다면 밀도다. 그때 한 점은 내부에 갇힌다. 그러므로 여섯째 지점은 없다. 이 상태에서 매개변수를 하나씩 제거한다. 사면체나 삼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것이든 당겨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선은 양끝단을 당겨서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점은 그 점을 지워서 없앨 수 있다.


555.jpg


    귀납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수학의 차원개념과는 다릅니다. 수학은 0차원과 4차원이 생겨 어리둥절하게 되었는데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매개변수 다섯 개를 지정할 뿐입니다. 내부가 균일한 계에 에너지가 입력되면 사건이 시작되는데 그 사건의 시작점을 찍은 것이 다섯째 지점입니다. 사건은 계가 깨지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80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52
3739 전우치가 실패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5-09-08 6255
3738 질≫입자≫힘≫운동≫량 image 1 김동렬 2014-12-07 6256
3737 파우스트의 결론 김동렬 2018-08-07 6257
3736 지적설계설의 아이러니 김동렬 2014-10-05 6266
3735 논어 2, 공자는 용서없다 image 2 김동렬 2016-01-28 6269
3734 논어 더보기 2 김동렬 2016-06-21 6274
3733 창조론의 즐거움 image 5 김동렬 2015-05-14 6278
3732 마음 차리기 image 1 김동렬 2015-02-21 6304
3731 다섯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5-07-27 6312
3730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image 2 김동렬 2016-04-19 6323
3729 외계인의 입장 10 김동렬 2018-08-20 6326
3728 엉뚱이가 창의를 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5-11 6329
3727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관찰 image 김동렬 2015-03-24 6339
3726 희망을 버릴 수 있다는 희망 image 3 김동렬 2015-06-20 6344
3725 구조론의 법칙 김동렬 2014-09-11 6345
3724 집과 길 그리고 자궁 image 1 김동렬 2014-11-20 6346
3723 의사결정학의 관점 2 김동렬 2014-07-06 6349
3722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353
3721 동적균형의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3 6357
3720 행복은 세상에 대한 보고서다 image 11 김동렬 2015-02-21 6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