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599 vote 0 2016.10.21 (19:28:11)

65.jpg 66.jpg

 

     
    매개변수를 포착하라.


    ◎ 점은 한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선은 두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각은 세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입체는 네 지점을 늘일 수 있다.
    ◎ 밀도는 다섯 지점을 늘일 수 있다.


    매개변수는 1에서 5까지 있다. 다섯째 지점을 늘이면 형태가 깨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 물체가 충돌하는 순간에만 밀도를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로 보면 그것은 언제나 있다. 입체는 사면체가 되고 이에 중심점이 생기므로 외부에 대해 대칭된다. 밀도는 안과 밖의 대칭을 이룬다. 에너지가 확산에서 수렴을 바뀐 상태다. 이 상태에서 마이너스로 가야 매개변수가 발견된다.


    두 입체가 한 점에서 충돌한다면 밀도다. 그때 한 점은 내부에 갇힌다. 그러므로 여섯째 지점은 없다. 이 상태에서 매개변수를 하나씩 제거한다. 사면체나 삼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것이든 당겨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선은 양끝단을 당겨서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점은 그 점을 지워서 없앨 수 있다.


555.jpg


    귀납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수학의 차원개념과는 다릅니다. 수학은 0차원과 4차원이 생겨 어리둥절하게 되었는데 구조론은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매개변수 다섯 개를 지정할 뿐입니다. 내부가 균일한 계에 에너지가 입력되면 사건이 시작되는데 그 사건의 시작점을 찍은 것이 다섯째 지점입니다. 사건은 계가 깨지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4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07
3692 언어가 인간을 규정한다 image 14 김동렬 2015-09-29 6523
3691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10-01 5441
3690 두 번의 살인 image 김동렬 2015-10-02 5554
3689 교육의 정답은 물리적인 통제다(수정) image 4 김동렬 2015-10-03 7354
3688 북극의 북쪽에 무엇이 있을까? image 1 김동렬 2015-10-05 6097
3687 근대인의 사유 image 1 김동렬 2015-10-06 7249
3686 욕망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5-10-07 5750
3685 깨달음은 두 번 뒤통수를 친다 image 1 김동렬 2015-10-07 5505
3684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5-10-08 6221
3683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48
3682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36
3681 진리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10 5883
3680 구조론은 5로 해결한다 image 2 김동렬 2015-10-16 4998
3679 세상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10-20 5080
3678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144
3677 왜 엔트로피인가? image 2 김동렬 2015-10-21 4987
3676 신과 사탄이 싸우면 승자는? image 7 김동렬 2015-10-22 5944
3675 양자론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10-23 5137
3674 짧은 깨달음 image 김동렬 2015-10-24 5604
3673 짧지 않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25 4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