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981 vote 0 2016.10.15 (12:03:25)

     

    위상수학으로 출발하자.


    노벨물리학상과 관련하여 화제가 된 위상개념으로부터 이야기를 풀어가도록 하자. 인용한 만화처럼 구조론은 쉽다. 구조론이 어렵다고 여기는 사람은 뭔가 근본에서 뒤틀려 있다고 봐야 한다. 뭐가 어렵다는 거지? 너무 쉽잖아.


    위상의 위는 위치, 상은 서로이니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다. 지구 위에서의 절대적 위치는 변해도 둘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외부를 닫아걸고 상대를 절대화 하는 것이 위상수학이다. 상대성의 절대성이다.


    에너지의 위상은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 밖에 없으므로 너무 쉽다. 라인이 다섯인 질에서부터 라인을 하나씩 차단하면 입자, 힘, 운동, 량으로 바뀐다. 외부에서 에너지가 유입되면 라인이 1이지만 외부를 닫아걸고 에너지를 들여오는 작용 반작용의 대칭구조를 내부에서 복제하면 다섯이 된다.



44.jpg 46.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3202
3601 용기있는 자가 진리를 본다 image 4 김동렬 2015-05-04 6803
3600 미련한 곰도 깨달을 수 있다. image 3 김동렬 2015-01-20 6806
3599 자기 둥지로 시작하라 2 김동렬 2014-07-05 6809
3598 손가락을 가리키면 달을 본다 image 2 김동렬 2015-02-04 6812
3597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6834
3596 에너지의 카오스와 코스모스 image 1 김동렬 2015-06-28 6835
3595 무에서 유로 도약하라 1 김동렬 2014-07-03 6841
3594 동적균형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4-05-28 6846
3593 구조로 보아야 역사가 보인다 image 2 김동렬 2014-12-04 6846
3592 대칭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3-31 6850
3591 세상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image 17 김동렬 2015-04-24 6860
3590 1초 안에 깨달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8-28 6868
3589 인간이 불행한 이유 image 2 김동렬 2015-10-28 6885
3588 도덕경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7-03 6888
3587 공자의 죽음과 부활 image 김동렬 2016-04-29 6888
3586 깨달음은 호르몬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3-05 6894
3585 공자는 왜 위대한가? image 3 김동렬 2015-04-13 6898
3584 인간이 오판하는 이유 1 김동렬 2014-08-17 6900
3583 약한고리를 보호하라 4 김동렬 2014-08-28 6900
3582 구조론은 한 방이다. 7 김동렬 2014-08-26 6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