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26 vote 0 2016.10.14 (23:34:40)

 

43.jpg

   
    인간이 관측하다


    인간은 학문으로 일어서고, 학문은 과학으로 달성되며, 과학은 수학에 의지하고, 수학은 1로 시작한다. 1은 공집합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최초에 집합이 있었다. 그 집합은 정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는 얼버무린 것이다. 허술하다. 구조론은 2로 시작한다. 최초에 쌍이 있었다. 먼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이 쌍을 이룬다. 그 구조를 복제한다. 쌍을 이루는 관측자와 관측대상 둘을 연결하는 매개변수가 1이니 축을 이룬다. 그 축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조를 복제하니 2와 3이 얻어진다. 그리고 계속 간다. 쌍은 양자얽힘처럼 원래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며 사건을 이루어 존재를 도출한다. 짝지어진 2에서 매개변수 1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요, 반면 1에서 2를 보다 발산되어 실패하는 것이 근대과학의 한계다. 최초의 쌍은 에너지의 속성인 상호작용이다. 사건을 이루고 존재를 도출한다. 



555.jpg


    모든 것의 시작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 그리고 그 사이에 성립하는 매개변수가 축을 이루고 인식이라는 사건을 일으켜 존재의 사실을 복제하는 것입니다. 뇌 안에 들어온 시각과 청각의 신체감관에 의지한 데이터는 추론의 단서가 될 지언정, 논리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136
3665 상대성이 절대성이다. image 김동렬 2016-10-19 10199
3664 그림으로 다시보기 image 김동렬 2016-10-19 9295
3663 인과작용에서 상호작용으로 image 3 김동렬 2016-10-18 9609
3662 상호작용의 어려움 image 김동렬 2016-10-18 8753
3661 게임은 시작되었다. image 1 김동렬 2016-10-17 9266
3660 구조론 최종보고 image 김동렬 2016-10-17 9121
3659 상전이에 도전하라. image 김동렬 2016-10-16 8851
3658 위상으로 출발하라 image 김동렬 2016-10-15 8992
» 인간이 관측하다. image 김동렬 2016-10-14 8626
3656 에너지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10-14 8717
3655 안철수의 멸망이유 image 김동렬 2016-10-13 9560
3654 세상은 빵에서 나와 빵으로 돌아간다. image 김동렬 2016-10-12 9221
3653 에너지 낙차를 포착하라. image 김동렬 2016-10-12 8788
3652 관점을 훈련해 보자. image 김동렬 2016-10-11 8861
3651 제논의 궤변 image 1 김동렬 2016-10-11 9406
3650 나의 이야기 image 7 김동렬 2016-10-10 9769
3649 우주는 도너츠다. image 2 김동렬 2016-10-07 10000
3648 그것이 그것이다 image 1 김동렬 2016-10-06 9075
3647 물질이냐 에너지냐 image 김동렬 2016-10-06 8360
3646 참교육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10-05 8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