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90 vote 0 2016.10.14 (23:34:40)

 

43.jpg

   
    인간이 관측하다


    인간은 학문으로 일어서고, 학문은 과학으로 달성되며, 과학은 수학에 의지하고, 수학은 1로 시작한다. 1은 공집합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최초에 집합이 있었다. 그 집합은 정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는 얼버무린 것이다. 허술하다. 구조론은 2로 시작한다. 최초에 쌍이 있었다. 먼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이 쌍을 이룬다. 그 구조를 복제한다. 쌍을 이루는 관측자와 관측대상 둘을 연결하는 매개변수가 1이니 축을 이룬다. 그 축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조를 복제하니 2와 3이 얻어진다. 그리고 계속 간다. 쌍은 양자얽힘처럼 원래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며 사건을 이루어 존재를 도출한다. 짝지어진 2에서 매개변수 1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요, 반면 1에서 2를 보다 발산되어 실패하는 것이 근대과학의 한계다. 최초의 쌍은 에너지의 속성인 상호작용이다. 사건을 이루고 존재를 도출한다. 



555.jpg


    모든 것의 시작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 그리고 그 사이에 성립하는 매개변수가 축을 이루고 인식이라는 사건을 일으켜 존재의 사실을 복제하는 것입니다. 뇌 안에 들어온 시각과 청각의 신체감관에 의지한 데이터는 추론의 단서가 될 지언정, 논리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93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042
3704 인류문명의 골디락스존 image 1 김동렬 2017-01-02 12695
3703 구조론으로 본 인류문명 image 김동렬 2016-12-31 12688
3702 잠수함이 박아도 세월호 안 넘어간다. image 3 김동렬 2016-12-30 13839
3701 매력은 권력이다 image 5 김동렬 2016-12-28 13427
3700 응답하라 인간들아! image 3 김동렬 2016-12-28 11881
3699 자로는 초딩이다 image 9 김동렬 2016-12-26 15260
3698 부름에 응답하라 image 김동렬 2016-12-21 12420
3697 왜 이 시대에 공자인가? image 2 김동렬 2016-12-20 12169
3696 당신도 직관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2-16 12555
3695 구조론 5분 스피치 image 김동렬 2016-12-14 12656
3694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7 김동렬 2016-12-08 12739
3693 깨달음의 눈 image 김동렬 2016-12-05 12202
3692 질문하지마라 image 김동렬 2016-12-01 12451
3691 에너지를 통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11-28 11983
3690 권력의 시장원리 image 김동렬 2016-11-26 12083
3689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805
3688 의기투합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16-11-23 12001
3687 게임의 문제 김동렬 2016-11-22 11588
3686 복잡에서 단순으로. image 김동렬 2016-11-22 11213
3685 관점을 깨닫고 보자. image 김동렬 2016-11-21 11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