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03 vote 0 2016.10.14 (23:34:40)

 

43.jpg

   
    인간이 관측하다


    인간은 학문으로 일어서고, 학문은 과학으로 달성되며, 과학은 수학에 의지하고, 수학은 1로 시작한다. 1은 공집합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최초에 집합이 있었다. 그 집합은 정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는 얼버무린 것이다. 허술하다. 구조론은 2로 시작한다. 최초에 쌍이 있었다. 먼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이 쌍을 이룬다. 그 구조를 복제한다. 쌍을 이루는 관측자와 관측대상 둘을 연결하는 매개변수가 1이니 축을 이룬다. 그 축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조를 복제하니 2와 3이 얻어진다. 그리고 계속 간다. 쌍은 양자얽힘처럼 원래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며 사건을 이루어 존재를 도출한다. 짝지어진 2에서 매개변수 1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요, 반면 1에서 2를 보다 발산되어 실패하는 것이 근대과학의 한계다. 최초의 쌍은 에너지의 속성인 상호작용이다. 사건을 이루고 존재를 도출한다. 



555.jpg


    모든 것의 시작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 그리고 그 사이에 성립하는 매개변수가 축을 이루고 인식이라는 사건을 일으켜 존재의 사실을 복제하는 것입니다. 뇌 안에 들어온 시각과 청각의 신체감관에 의지한 데이터는 추론의 단서가 될 지언정, 논리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7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92
3732 완전성의 노래 image 8 김동렬 2013-05-28 9728
3731 12살 소녀 민희(가명)의 경우 김동렬 2006-10-27 9713
3730 인과작용에서 상호작용으로 image 3 김동렬 2016-10-18 9708
3729 우주는 구겨져 있다 김동렬 2013-10-03 9693
3728 모형적 사고 image 1 김동렬 2013-04-18 9668
3727 안철수의 멸망이유 image 김동렬 2016-10-13 9665
3726 양자로 보는 관점 image 김동렬 2013-07-12 9657
3725 자기소개 절대로 해라 image 김동렬 2016-09-24 9655
3724 언어란 무엇인가? image 7 김동렬 2016-09-22 9651
3723 진리 세계 진보 역사 문명 김동렬 2007-12-31 9647
3722 누가 진리의 화살에 맞서랴? image 5 김동렬 2013-09-04 9645
3721 예측투자로 성공하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3-06-27 9641
3720 천하의 질문에 답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8-05-24 9640
3719 구조주의 진화론 김동렬 2008-05-16 9640
3718 종교와 광기 2 김동렬 2014-02-05 9631
3717 세상은 이렇게 탄생했다 image 13 김동렬 2013-10-07 9617
3716 러닝 피라미드 image 4 김동렬 2018-08-06 9614
3715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2 김동렬 2013-10-08 9610
3714 계몽인가 소통인가 김동렬 2007-04-23 9609
3713 완전한 사랑에 이르기 3 김동렬 2014-01-14 9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