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91 vote 0 2016.10.14 (23:34:40)

 

43.jpg

   
    인간이 관측하다


    인간은 학문으로 일어서고, 학문은 과학으로 달성되며, 과학은 수학에 의지하고, 수학은 1로 시작한다. 1은 공집합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최초에 집합이 있었다. 그 집합은 정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는 얼버무린 것이다. 허술하다. 구조론은 2로 시작한다. 최초에 쌍이 있었다. 먼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이 쌍을 이룬다. 그 구조를 복제한다. 쌍을 이루는 관측자와 관측대상 둘을 연결하는 매개변수가 1이니 축을 이룬다. 그 축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조를 복제하니 2와 3이 얻어진다. 그리고 계속 간다. 쌍은 양자얽힘처럼 원래부터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며 사건을 이루어 존재를 도출한다. 짝지어진 2에서 매개변수 1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요, 반면 1에서 2를 보다 발산되어 실패하는 것이 근대과학의 한계다. 최초의 쌍은 에너지의 속성인 상호작용이다. 사건을 이루고 존재를 도출한다. 



555.jpg


    모든 것의 시작은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 그리고 그 사이에 성립하는 매개변수가 축을 이루고 인식이라는 사건을 일으켜 존재의 사실을 복제하는 것입니다. 뇌 안에 들어온 시각과 청각의 신체감관에 의지한 데이터는 추론의 단서가 될 지언정, 논리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29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74
3366 물질이냐 에너지냐 image 김동렬 2016-10-06 8427
3365 구조론의 대의 image 3 김동렬 2013-12-23 8435
3364 자기 생각을 쓰지 마라 6 김동렬 2014-09-17 8454
3363 구조론으로 본 홍명보축구 image 김동렬* 2012-10-21 8474
3362 바둑은 장기를 이긴다 7 김동렬 2014-07-15 8482
3361 점 선 면 입체 그리고 차원 1 김동렬 2014-09-30 8490
3360 신에게서 인간으로 7 김동렬 2018-06-19 8524
3359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28
3358 블랙스완은 두 번 나타난다. image 김동렬 2014-02-11 8550
3357 종교의 실패 김동렬 2018-06-21 8554
3356 구조론자의 마음 9 김동렬 2014-03-23 8564
3355 바람은 불지 않는다 김동렬 2018-06-03 8569
3354 의사결정모형으로 사유하라 2 김동렬 2013-11-28 8587
3353 문제해결의 우선순위 image 4 김동렬 2014-05-22 8599
3352 긍정의 법칙 4 김동렬 2014-05-04 8606
3351 특이점을 찾아라 image 1 김동렬 2013-10-23 8611
3350 진화는 예측된다. 김동렬* 2012-10-21 8612
3349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617
3348 균일의 불균일 1 김동렬 2018-06-08 8617
3347 범죄자와 대학생 3 김동렬 2018-07-03 8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