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664 vote 0 2016.10.13 (14:57:10)

40.jpg 

41.jpg


45.jpg


 42.jpg


 


   
    세상은 안에서 밖이 아니라 밖에서 안이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안에서 밖은 없으므로 중도파는 입지가 없다. 밖에서 안으로 즉 좌나 우에서 중도로 오는 과정에서 에너지 낙차가 얻어진다. 반면 극좌나 극우는 안에서 밖을 향하므로 역시 에너지가 없다.


    이는 상부구조를 발견하는 문제이다. 안에서 밖으로는 갈 수가 없는데 만약 갔다면 사실은 더 큰 범위에서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손가락이 밖으로 갔다면 손목에서, 손이 밖으로 갔다면 팔에서, 팔이 밖으로 갔다면 몸에서, 몸이 밖으로 간다면 지구에서 에너지가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투수는 체중을 지구로 보냈다가 지구에서 몸으로 되돌려받는 방법으로 힘을 빼고 공을 던진다.


    항상 밖에서 안으로 올 뿐이며 그 반대는 절대로 없다. 안철수는 중간에 있으므로 가속도를 얻지 못한다. 정의당은 바깥을 바라보므로 역시 통제권이 없다. 오직 변에서 중앙으로 뛰어드는 사람만 통제권을 얻는다. 이세돌이 변에서 머뭇거릴 때 알파고는 중앙으로 뛰어들었다.


    첫 착점을 천원에 두면 역시 망한다. 가속도가 없기 때문이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에너지가 출발하는 바깥의 경계를 안다는 것이며 곧 닫힌계를 지정할줄 안다는 것이다. 안에서 밖을 보는 자는 영원히 깨닫지 못한다.


555.jpg


    밖에서 안을 보려면 먼저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집을 나가야 가족을 이해하고 세계시민이 되어야 국가를 이해하며 신과의 일대일까지 가야 우주를 이해합니다. 안에서는 절대로 에너지를 얻을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5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68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43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63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63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55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13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23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82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18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85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13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55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13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72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54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797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399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34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18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46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