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532 vote 0 2016.10.13 (14:57:10)

40.jpg 

41.jpg


45.jpg


 42.jpg


 


   
    세상은 안에서 밖이 아니라 밖에서 안이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안에서 밖은 없으므로 중도파는 입지가 없다. 밖에서 안으로 즉 좌나 우에서 중도로 오는 과정에서 에너지 낙차가 얻어진다. 반면 극좌나 극우는 안에서 밖을 향하므로 역시 에너지가 없다.


    이는 상부구조를 발견하는 문제이다. 안에서 밖으로는 갈 수가 없는데 만약 갔다면 사실은 더 큰 범위에서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손가락이 밖으로 갔다면 손목에서, 손이 밖으로 갔다면 팔에서, 팔이 밖으로 갔다면 몸에서, 몸이 밖으로 간다면 지구에서 에너지가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투수는 체중을 지구로 보냈다가 지구에서 몸으로 되돌려받는 방법으로 힘을 빼고 공을 던진다.


    항상 밖에서 안으로 올 뿐이며 그 반대는 절대로 없다. 안철수는 중간에 있으므로 가속도를 얻지 못한다. 정의당은 바깥을 바라보므로 역시 통제권이 없다. 오직 변에서 중앙으로 뛰어드는 사람만 통제권을 얻는다. 이세돌이 변에서 머뭇거릴 때 알파고는 중앙으로 뛰어들었다.


    첫 착점을 천원에 두면 역시 망한다. 가속도가 없기 때문이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에너지가 출발하는 바깥의 경계를 안다는 것이며 곧 닫힌계를 지정할줄 안다는 것이다. 안에서 밖을 보는 자는 영원히 깨닫지 못한다.


555.jpg


    밖에서 안을 보려면 먼저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집을 나가야 가족을 이해하고 세계시민이 되어야 국가를 이해하며 신과의 일대일까지 가야 우주를 이해합니다. 안에서는 절대로 에너지를 얻을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217 신과 사탄이 싸우면 승자는? image 7 김동렬 2015-10-22 5807
3216 왜 엔트로피인가? image 2 김동렬 2015-10-21 4837
3215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053
3214 세상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10-20 4944
3213 구조론은 5로 해결한다 image 2 김동렬 2015-10-16 4890
3212 진리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10 5767
3211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008
3210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039
3209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5-10-08 6126
3208 깨달음은 두 번 뒤통수를 친다 image 1 김동렬 2015-10-07 5378
3207 욕망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5-10-07 5654
3206 근대인의 사유 image 1 김동렬 2015-10-06 7122
3205 북극의 북쪽에 무엇이 있을까? image 1 김동렬 2015-10-05 5959
3204 교육의 정답은 물리적인 통제다(수정) image 4 김동렬 2015-10-03 7258
3203 두 번의 살인 image 김동렬 2015-10-02 5423
3202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10-01 5327
3201 언어가 인간을 규정한다 image 14 김동렬 2015-09-29 6410
3200 구조론의 다섯 포지션 image 김동렬 2015-09-21 5266
3199 구조론은 간단하다 image 김동렬 2015-09-21 5432
3198 고쳐쓴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9-20 4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