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543 vote 0 2016.10.13 (14:57:10)

40.jpg 

41.jpg


45.jpg


 42.jpg


 


   
    세상은 안에서 밖이 아니라 밖에서 안이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안에서 밖은 없으므로 중도파는 입지가 없다. 밖에서 안으로 즉 좌나 우에서 중도로 오는 과정에서 에너지 낙차가 얻어진다. 반면 극좌나 극우는 안에서 밖을 향하므로 역시 에너지가 없다.


    이는 상부구조를 발견하는 문제이다. 안에서 밖으로는 갈 수가 없는데 만약 갔다면 사실은 더 큰 범위에서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손가락이 밖으로 갔다면 손목에서, 손이 밖으로 갔다면 팔에서, 팔이 밖으로 갔다면 몸에서, 몸이 밖으로 간다면 지구에서 에너지가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투수는 체중을 지구로 보냈다가 지구에서 몸으로 되돌려받는 방법으로 힘을 빼고 공을 던진다.


    항상 밖에서 안으로 올 뿐이며 그 반대는 절대로 없다. 안철수는 중간에 있으므로 가속도를 얻지 못한다. 정의당은 바깥을 바라보므로 역시 통제권이 없다. 오직 변에서 중앙으로 뛰어드는 사람만 통제권을 얻는다. 이세돌이 변에서 머뭇거릴 때 알파고는 중앙으로 뛰어들었다.


    첫 착점을 천원에 두면 역시 망한다. 가속도가 없기 때문이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에너지가 출발하는 바깥의 경계를 안다는 것이며 곧 닫힌계를 지정할줄 안다는 것이다. 안에서 밖을 보는 자는 영원히 깨닫지 못한다.


555.jpg


    밖에서 안을 보려면 먼저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집을 나가야 가족을 이해하고 세계시민이 되어야 국가를 이해하며 신과의 일대일까지 가야 우주를 이해합니다. 안에서는 절대로 에너지를 얻을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740 인간은 다 바보다. image 20 김동렬 2016-08-18 9834
3739 이제는 공간을 규명할 때 김동렬 2013-11-13 9832
3738 원형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2-06-11 9829
3737 상호작용의 세계관 image 5 김동렬 2013-06-04 9828
3736 빛과 어둠의 이중성 image 9 김동렬 2014-04-15 9811
3735 왜 여성은 아름다운가? image 14 김동렬 2016-08-12 9805
3734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김동렬 2006-12-19 9805
3733 구조를 사랑하라 image 3 김동렬 2012-07-04 9804
3732 육체와 정신 김동렬 2013-07-16 9800
3731 게임의 지배 김동렬 2006-02-21 9792
3730 변방에서 출현한 새로운 강자 집단 김동렬 2006-02-16 9786
3729 구조론 100문 100답 image 10 김동렬 2012-04-04 9782
3728 아멜리 노통브의 착각 image 3 김동렬 2014-10-01 9763
3727 인문학의 탄생 image 7 김동렬 2013-04-01 9751
3726 나의 이야기 image 7 김동렬 2016-10-10 9749
3725 자연에 1은 없다 김동렬 2013-09-26 9740
3724 예측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06-25 9740
3723 최장집의 호통개그 김동렬 2007-02-20 9740
3722 구조냐 심조냐 image 12 김동렬 2013-07-01 9737
3721 어린 신부 잔혹사(추가버전) 6 김동렬 2013-12-25 9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