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622 vote 0 2016.10.13 (14:57:10)

40.jpg 

41.jpg


45.jpg


 42.jpg


 


   
    세상은 안에서 밖이 아니라 밖에서 안이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안에서 밖은 없으므로 중도파는 입지가 없다. 밖에서 안으로 즉 좌나 우에서 중도로 오는 과정에서 에너지 낙차가 얻어진다. 반면 극좌나 극우는 안에서 밖을 향하므로 역시 에너지가 없다.


    이는 상부구조를 발견하는 문제이다. 안에서 밖으로는 갈 수가 없는데 만약 갔다면 사실은 더 큰 범위에서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손가락이 밖으로 갔다면 손목에서, 손이 밖으로 갔다면 팔에서, 팔이 밖으로 갔다면 몸에서, 몸이 밖으로 간다면 지구에서 에너지가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투수는 체중을 지구로 보냈다가 지구에서 몸으로 되돌려받는 방법으로 힘을 빼고 공을 던진다.


    항상 밖에서 안으로 올 뿐이며 그 반대는 절대로 없다. 안철수는 중간에 있으므로 가속도를 얻지 못한다. 정의당은 바깥을 바라보므로 역시 통제권이 없다. 오직 변에서 중앙으로 뛰어드는 사람만 통제권을 얻는다. 이세돌이 변에서 머뭇거릴 때 알파고는 중앙으로 뛰어들었다.


    첫 착점을 천원에 두면 역시 망한다. 가속도가 없기 때문이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에너지가 출발하는 바깥의 경계를 안다는 것이며 곧 닫힌계를 지정할줄 안다는 것이다. 안에서 밖을 보는 자는 영원히 깨닫지 못한다.


555.jpg


    밖에서 안을 보려면 먼저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집을 나가야 가족을 이해하고 세계시민이 되어야 국가를 이해하며 신과의 일대일까지 가야 우주를 이해합니다. 안에서는 절대로 에너지를 얻을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09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330
3724 의사결정학의 관점 2 김동렬 2014-07-06 6365
3723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366
3722 동적균형의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3 6380
3721 행복은 세상에 대한 보고서다 image 11 김동렬 2015-02-21 6390
3720 구조론의 정수 image 2 김동렬 2014-12-19 6398
3719 신영복 선생의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6-01-18 6398
3718 인지혁명이 시작되다 image 1 김동렬 2016-06-13 6400
3717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405
3716 답은 상부구조에 있다. 1 김동렬 2014-08-24 6409
3715 불확정성의 원리 image 1 김동렬 2015-03-17 6410
3714 괴짜가 창의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5-15 6413
3713 남자가 실패하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5-04-27 6418
3712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3 김동렬 2015-02-25 6419
3711 구조의 시뮬레이션 image 8 김동렬 2015-02-23 6420
3710 인식론의 문제 image 9 김동렬 2015-01-14 6424
3709 문명의 대결 image 김동렬 2015-07-16 6431
3708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435
3707 권력과 의리 4 김동렬 2018-08-11 6444
3706 세, 법, 술로 이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5-06 6446
3705 구조론으로 본 의학 image 20 김동렬 2015-01-12 6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