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95 vote 0 2016.10.12 (15:00:50)

38.jpg

 

    

    우리는 반대로 알고 있다. 작은 콩알이 모여서 큰 세상을 이룬다고 믿는다. 틀렸다. 세상의 기본은 천칭이며, 천칭이 널리 복제되어 세상을 이룬다. 천칭은 사건의 진행과정에서 쪼개진다. 외부에서 작용하는 에너지 입장에서는 천칭이 빵으로 보이지만 건드리면 반응하며 도너츠가 되고, 다시 프레첼로 바뀌며 사건이 진행된다. 


    세상을 콩알의 집합으로 보는 것이 원자론, 집합론의 관점이다. 틀렸다. 천칭의 복제로 보는 관점이 깨달음이다. 콩알은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원자로 알려져 있지만 천칭은 사건이 진행되면서 쪼개진다. 세상은 에너지의 결합과 해체로 작동된다. 에너지는 중첩이며 중첩은 두 방향을 가지므로 에너지는 특정한 위치를 지정할 수 없다. 위치가 특정되면 위치에너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서 구조론은 양자역학과 만난다.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에서 숨은 천칭을 찾을 수 있다. 정치에, 경제에, 사회에, 문화에, 예술에 그것이 있다. 그것을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계에 실려있는 에너지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하나 안에 둘이 들어가 중첩을 이루면 모순이므로 하나를 밀어낸다. 이것이 사건이다. 


    원자론은 하나 안에 하나가 있다는 생각이다. 틀렸다. 세상은 마이너스다. 하나 안에 하나가 있으면 그것을 끌어모아야 하지만 복제되면 중첩되므로 밀어내야 한다. 그 밀어내는 과정에서 세상이 작동한다. 원자론은 필연 그 원자를 끌어모을 집합론을 요구하고, 그 원자를 모으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모시키므로 작동되지 않는다.


    정당이 깃발을 꽂고 당원을 모으다가 망하는 것과 같다. 집합은 망한다. 트럼프가 공화당을 장악하듯이 이미 갖추어져 있는 것을 빼앗는 것이 정답이다. 모으면 모으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모되어 흩어지지만 반대로 흩으면 복제되어 전파된다. 원자론을 극복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반드시 하나 안에 둘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중첩이며 곧 에너지다.


555.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578
3346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558
3345 범죄자와 대학생 3 김동렬 2018-07-03 8559
3344 질에서 입자로 나아가기 1 김동렬 2013-10-25 8567
3343 이것이 전략이다. image 16 김동렬 2014-12-30 8586
3342 질과 입자 image 2 김동렬 2013-11-04 8595
3341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6 김동렬 2014-08-14 8595
3340 구조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4-02-02 8598
3339 에너지와 구조 김동렬 2018-06-06 8598
3338 경제예측은 가능한가? 9 김동렬 2014-02-10 8601
3337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image 김동렬 2016-09-28 8601
3336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03
3335 이상주의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4-12-02 8608
3334 에너지는 수렴된다 1 김동렬 2018-06-01 8608
3333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9-27 8611
3332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26
3331 깨달음은 관계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29
3330 제 2의 스푸트니크 쇼크가 온다. image 11 김동렬 2015-06-29 8630
3329 인간이 관측하다. image 김동렬 2016-10-14 8632
3328 사기당하지 않으려면 image 1 김동렬 2014-06-19 8635
3327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