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973 vote 0 2016.10.11 (23:51:57)

35.jpg 36.jpg 37.jpg

      

    보이는 물체를 보는 것은 정설이다. 물체의 엮여있음에서 보이지 않는 힘을 보는 것은 역설이다. 맞물려 있는 매개변수의 수를 세어 매개변수의 수가 많은 데서 매개변수가 적은 쪽으로 가는 에너지의 방향성을 보는 것은 역설이다. 힘을 만들어낼 수 있는 시스템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에너지를 탄생시키는 자궁 말이다. 


    정설은 주인공 히어로가 악당을 죽인다. 역설은 스파게티 웨스턴처럼 악당이 오히려 주인공이 된다. 게임의 규칙을 무너뜨린다. 정설은 집단이 시스템의 힘으로 악당을 이긴다. 자기 방법으로 새로운 게임의 규칙,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간다. 에너지를 유도하는 절차를 전시해야 한다. 정설은 질서에 복종하고 역설은 질서에 거역하고 이중의 역설은 자기 질서를 만들어낸다.


    당신은 어떤 사물을 보든지 거기서 눈금과 자와 콤파스와 됫박과 천칭저울을 발견해낼 수 있어야 한다. 처음 에너지를 조직하고 유도하는 절차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을 보는 훈련이 관점의 훈련이다. 어떤 것이든 대상 속에 도너츠와 프레첼이 숨어 있다. 천칭이 두 개의 팔을 가지듯이 프레첼은 두 개의 구멍을 가지며 시계추처럼 왕복하면서 교대로 열고 닫는다. 그 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성한다. 정치에도, 경제에도, 사회에도 문화에도, 천칭저울 하나씩 있다.


555.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1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769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51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70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70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63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23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33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90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33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95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21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62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20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85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59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02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06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41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29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56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