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858 vote 0 2016.10.11 (23:51:57)

35.jpg 36.jpg 37.jpg

      

    보이는 물체를 보는 것은 정설이다. 물체의 엮여있음에서 보이지 않는 힘을 보는 것은 역설이다. 맞물려 있는 매개변수의 수를 세어 매개변수의 수가 많은 데서 매개변수가 적은 쪽으로 가는 에너지의 방향성을 보는 것은 역설이다. 힘을 만들어낼 수 있는 시스템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에너지를 탄생시키는 자궁 말이다. 


    정설은 주인공 히어로가 악당을 죽인다. 역설은 스파게티 웨스턴처럼 악당이 오히려 주인공이 된다. 게임의 규칙을 무너뜨린다. 정설은 집단이 시스템의 힘으로 악당을 이긴다. 자기 방법으로 새로운 게임의 규칙,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간다. 에너지를 유도하는 절차를 전시해야 한다. 정설은 질서에 복종하고 역설은 질서에 거역하고 이중의 역설은 자기 질서를 만들어낸다.


    당신은 어떤 사물을 보든지 거기서 눈금과 자와 콤파스와 됫박과 천칭저울을 발견해낼 수 있어야 한다. 처음 에너지를 조직하고 유도하는 절차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을 보는 훈련이 관점의 훈련이다. 어떤 것이든 대상 속에 도너츠와 프레첼이 숨어 있다. 천칭이 두 개의 팔을 가지듯이 프레첼은 두 개의 구멍을 가지며 시계추처럼 왕복하면서 교대로 열고 닫는다. 그 방법으로 에너지를 생성한다. 정치에도, 경제에도, 사회에도 문화에도, 천칭저울 하나씩 있다.


555.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041
3324 노벨물리학상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0-05 8632
3323 모기는 남자를 문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42
3322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8645
3321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69
3320 근원의 논리는 하나다 2 김동렬 2018-06-11 8673
3319 관성력으로 이겨야 진짜다 김동렬 2018-06-26 8681
3318 관계를 깨달음 김동렬* 2012-10-21 8689
3317 삼성의 소행, 성공한 도둑질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696
3316 완전한 모형을 품기 1 김동렬 2014-01-09 8699
3315 21세기의 절대성 세계 1 김동렬 2013-10-29 8699
3314 모형으로 이해하라 김동렬 2014-01-02 8701
3313 최근 글 정리 김동렬 2018-06-22 8706
3312 깨달음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09
3311 자기소개하지 말라? image 4 김동렬 2014-07-10 8711
3310 에너지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10-14 8715
3309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23
3308 존재의 원형 image 김동렬 2013-11-29 8729
3307 약자를 격동시켜라. 김동렬 2018-06-01 8731
3306 워렌 버핏의 함정 2 김동렬 2014-07-08 8744
3305 신과 기적과 기도 5 김동렬 2018-06-16 8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