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407 vote 0 2016.10.11 (11:38:17)

33.jpg 34.jpg

 

      


    제논의 궤변은 문제를 푸는게 아니다. 관점을 바꾸는 것이다. 세상을 밖에서 보느냐 안에서 보느냐다. 안에서 보면 지고 밖에서 보면 이긴다. 세상은 게임이다. 게임의 당사자는 둘이다. 둘 사이에 매개변수는 하나다. 그 외에 아무 것도 없다. 우리는 거북이가 앞으로 간다고 믿지만 그럴 리가. 거북이는 후진한다. 왜? 아킬레스 버스를 타고 가다보면 길 가의 가로수가 후진하듯이 거북이는 되돌아오는 것이다. 오직 아킬레스와 거북이 사이의 간격만이 문제가 된다. 간격은 좁혀진다.


    우리가 앞으로 가는 것은 발로 땅을 미는 것이며 에너지로 보면 동시에 두 방향으로 전개한다. 그냥 앞으로 가는 것은 없으며 날아가는 총알도 운동상태로 정지해 있는 것이다. 총알은 움직이지 않으며 다만 총알과 지구와의 관계가 확산방향으로 전개한다. 우리는 공간좌표를 절대로 놓지만 그런거 없다. 둘의 관계가 절대다. 절대공간 속에 우리가 있다는 믿음이 정설이라면 그런거 없다는 상대성이 역설이 되고 둘 사이의 관계를 절대로 놓는 것이 이중의 역설이다. 상대성 속에서 절대성을 보는 것이 아인슈타인의 해결책이다. 관계로 보면 우주 안에 홀로 운동하는 것은 없다. 모든 운동은 양자단위로 쪼개고 보면 양방향 확산이다. 척력만이 진실하고 인력은 없다. 어떤 것이 앞으로 가는 것은 동시에 뒤로 가는 것이다. 단 제 3자가 개입했을 때 제 3자와의 관계로 우리는 전진이다 후진이다 하고 정하는 것이다. 그것은 매개변수가 추가된 다른 게임이다. 이 도리를 안다면 세상은 모두 해결된 것이다.


555.jpg


    활을 쏘는 것은 신의 게임, 화살이 허공을 날아가며 또다른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은 당신의 게임입니다. 신의 선수에 당신이 응수하여 호응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룰을 정하는 자가 되었을 때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게임이니까. 당신이 두어야 할 다음 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락에이지

2016.10.12 (01:19:04)

마지막 단락을 읽다가 드라마 미생에서 조치훈 9단이 했다는 말이라는 장그래의 대사가 생각났습니다.
영상이 끝날때까지 장그래의 대사가 이어집니다.

그래봤자 바둑 그래도 바둑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516
3746 척력은 있고 인력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7-02-27 13381
3745 행복이 아니라 에너지다. image 김동렬 2017-02-26 12470
3744 행복과 불행 image 3 김동렬 2017-02-25 12918
3743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원한다. image 4 김동렬 2017-02-24 13858
3742 안희정의 소통, 노무현의 소통 image 1 김동렬 2017-02-23 12900
3741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18755
3740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image 1 김동렬 2017-02-22 12951
3739 만화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7-02-20 13423
3738 벤처, 어떻게 할 것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0 12498
3737 인류의 뇌가 작아졌다고? image 김동렬 2017-02-17 12276
3736 권력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7-02-16 13494
3735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image 8 김동렬 2017-02-14 17619
3734 마음이 바래는 것은? image 김동렬 2017-02-13 12914
3733 영화 컨택트를 보고 image 3 김동렬 2017-02-13 13368
3732 포지션을 얻은 다음 버려라 image 3 김동렬 2017-02-12 13083
3731 마음은 안정되려고 하나 image 2 김동렬 2017-02-11 13288
3730 마음의 마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2-10 13238
3729 존재론과 인식론의 구분 image 김동렬 2017-02-09 13357
3728 컨택트 (Arrival, 2016) image 김동렬 2017-02-07 13446
3727 인생은 운명인가 자유의지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05 14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