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730 vote 0 2016.10.11 (11:38:17)

33.jpg 34.jpg

 

      


    제논의 궤변은 문제를 푸는게 아니다. 관점을 바꾸는 것이다. 세상을 밖에서 보느냐 안에서 보느냐다. 안에서 보면 지고 밖에서 보면 이긴다. 세상은 게임이다. 게임의 당사자는 둘이다. 둘 사이에 매개변수는 하나다. 그 외에 아무 것도 없다. 우리는 거북이가 앞으로 간다고 믿지만 그럴 리가. 거북이는 후진한다. 왜? 아킬레스 버스를 타고 가다보면 길 가의 가로수가 후진하듯이 거북이는 되돌아오는 것이다. 오직 아킬레스와 거북이 사이의 간격만이 문제가 된다. 간격은 좁혀진다.


    우리가 앞으로 가는 것은 발로 땅을 미는 것이며 에너지로 보면 동시에 두 방향으로 전개한다. 그냥 앞으로 가는 것은 없으며 날아가는 총알도 운동상태로 정지해 있는 것이다. 총알은 움직이지 않으며 다만 총알과 지구와의 관계가 확산방향으로 전개한다. 우리는 공간좌표를 절대로 놓지만 그런거 없다. 둘의 관계가 절대다. 절대공간 속에 우리가 있다는 믿음이 정설이라면 그런거 없다는 상대성이 역설이 되고 둘 사이의 관계를 절대로 놓는 것이 이중의 역설이다. 상대성 속에서 절대성을 보는 것이 아인슈타인의 해결책이다. 관계로 보면 우주 안에 홀로 운동하는 것은 없다. 모든 운동은 양자단위로 쪼개고 보면 양방향 확산이다. 척력만이 진실하고 인력은 없다. 어떤 것이 앞으로 가는 것은 동시에 뒤로 가는 것이다. 단 제 3자가 개입했을 때 제 3자와의 관계로 우리는 전진이다 후진이다 하고 정하는 것이다. 그것은 매개변수가 추가된 다른 게임이다. 이 도리를 안다면 세상은 모두 해결된 것이다.


555.jpg


    활을 쏘는 것은 신의 게임, 화살이 허공을 날아가며 또다른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은 당신의 게임입니다. 신의 선수에 당신이 응수하여 호응하는 것입니다. 당신이 룰을 정하는 자가 되었을 때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게임이니까. 당신이 두어야 할 다음 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락에이지

2016.10.12 (01:19:04)

마지막 단락을 읽다가 드라마 미생에서 조치훈 9단이 했다는 말이라는 장그래의 대사가 생각났습니다.
영상이 끝날때까지 장그래의 대사가 이어집니다.

그래봤자 바둑 그래도 바둑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842 구조론의 이해 image 1 김동렬 2017-06-12 12923
3841 입자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6-12 12931
3840 의사결정은 비용을 유발한다 image 김동렬 2017-06-10 12935
3839 세상은 수학이다 image 1 김동렬 2017-06-09 13761
3838 양자역학의 해석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7-06-08 13624
3837 축과 대칭을 발견하라 image 3 김동렬 2017-06-07 13413
3836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김동렬 2017-06-06 13021
3835 우주는 디지털이다. image 4 김동렬 2017-06-03 14910
3834 구조론의 우주관 image 김동렬 2017-06-01 12985
3833 우주의 근본문제 image 김동렬 2017-05-31 13043
3832 구조로 본 상대성 image 8 김동렬 2017-05-31 13223
3831 상대성이론의 진실 image 1 김동렬 2017-05-30 13460
3830 ( ) 하는 그것이 ( )다. image 김동렬 2017-05-30 12810
3829 사물이 먼저냐 사건이 먼저냐? image 4 김동렬 2017-05-29 13812
3828 구조론이 너무 쉬워 image 1 김동렬 2017-05-26 13551
3827 일에 대한 열정이 식어 걱정인 노예 image 김동렬 2017-05-25 13748
3826 돈은 필요하나 일은 하고 싶지 않은 image 2 김동렬 2017-05-24 14288
3825 일본의 분노 image 2 김동렬 2017-05-24 14058
3824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5-22 14317
3823 ‘왜 사나?’ 라는 질문이 들 때 image 김동렬 2017-05-22 14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