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999 vote 0 2016.10.07 (11:39:28)

28.jpg 29.jpg

      


    우주는 동서남북이 없다. 우리가 밤하늘의 어느 쪽을 보든 같은 방향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주는 모든 지점에서 균일하다. 우리는 공간이 모눈종이처럼 격자를 이룬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공간은 휘어져 있으며 내부에서 계속 만들어진다.


    직선은 곧은 선이 아니라 가장 빠른 길에 불과하다. 우주에 곧다는 것은 없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은 빛을 보는 것이며 빛은 빠른 길로 간다. 빠른 길이 직선이다. 필자가 수십년 전에 착안한 '뒤집어진 귤껍질 모형'이 도너츠와 유사하다.


    귤껍질은 바깥인데 뒤집으면 바깥이 안이다. 우주는 밖으로 팽창하는데 그 팽창이 일어나는 생장점이 내부에 있다. 도너츠는 가운데 구멍이 있지만 이는 비유로 말한 것이고 우주 가운데가 뻥 뚫린게 아니라 우주 내부에 생장점이 있는 거다.


    그 생장점에서 암흑에너지에 의해 공간이 활발하게 생성되고 있다. 공간의 팽창이 우주 바깥의 경계선이 아니라 우주 안에서 일어난다. 바깥이란 원래 없으며 우주 안밖을 나누는 경계선도 원래 없다. 빅뱅은 한 점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팽창은 점 안으로 진행하는 것이며 식빵이 부풀어도 밖으로는 조금도 튕겨나가지 않듯이 안으로 팽창하므로 내부 중심점에서 충돌하여 재차 가속팽창하게 된다. 팝콘은 밖으로 부스러기가 튕겨나가지만 우리 우주는 팝콘이 아니라 식빵이다.


    이는 필자가 수십년 전에 생각한 것인데 학계의 보고와 맞아떨어지고 있으므로 신뢰할만하다고 볼 수 있다. 우주를 에너지 관점으로 연역의 방법으로 바라보면 이 모형 외에 다른 모형을 생각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모형을 주장하는 것이다. 


    우주의 가장자리를 찾는 것은 인터넷의 가장자리를 찾는 것과 같다. 굳이 말하자면 새로 사이트가 생겨나는 서버와 라우트에 생장점이 있고 그곳이 가장자리다. 그런데 안에 있다. 옛날에는 실제 지도 위에 노선도를 표시했더니 승객들이 잘 찾지 못했다. 갈아타는 곳 중심으로 지하철 노선도는 만들어야 한다. 격자모양으로 된 공간개념을 폐지하고 의사결정횟수 곧 매개변수 중심으로 사유하는 것이 위상동형이다.



555.jpg


    우주의 중심이 있으면 안 되고 바깥이 있으면 안 됩니다. 만약 바깥이 있다면 바깥에 또다른 우주가 있을 것인데 매우 골치아파 집니다. 그렇게 되면 그야말로 천상에 이데아의 세계가 펼쳐져 있는 것으며 우리는 그림자를 보고 있는 것이죠. 평행우주처럼 우리우주 너머를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물리적 시공간의 바깥은 아니고 다른 개념으로 봐야 합니다. 우리 우주는 일단 빅뱅 이후 닫혀있다고 봐야 합니다. 빅뱅 이전을 논하면 매우 피곤해지는 거죠. 


[레벨:4]안미인

2016.10.07 (18:22:49)

친절한 설명 도움이 많이 되네요

[레벨:15]오세

2016.10.08 (09:08:25)

이것은 신의 모형이기도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708
3744 행복과 불행 image 3 김동렬 2017-02-25 12916
3743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원한다. image 4 김동렬 2017-02-24 13854
3742 안희정의 소통, 노무현의 소통 image 1 김동렬 2017-02-23 12900
3741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18751
3740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image 1 김동렬 2017-02-22 12949
3739 만화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7-02-20 13421
3738 벤처, 어떻게 할 것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0 12498
3737 인류의 뇌가 작아졌다고? image 김동렬 2017-02-17 12275
3736 권력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7-02-16 13489
3735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image 8 김동렬 2017-02-14 17616
3734 마음이 바래는 것은? image 김동렬 2017-02-13 12911
3733 영화 컨택트를 보고 image 3 김동렬 2017-02-13 13364
3732 포지션을 얻은 다음 버려라 image 3 김동렬 2017-02-12 13083
3731 마음은 안정되려고 하나 image 2 김동렬 2017-02-11 13286
3730 마음의 마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2-10 13236
3729 존재론과 인식론의 구분 image 김동렬 2017-02-09 13355
3728 컨택트 (Arrival, 2016) image 김동렬 2017-02-07 13445
3727 인생은 운명인가 자유의지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05 14212
3726 호르몬의 전략과 선택 image 1 김동렬 2017-02-04 13482
3725 생각에 옷을 입혀라 image 김동렬 2017-02-03 12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