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112 vote 0 2016.10.07 (11:39:28)

28.jpg 29.jpg

      


    우주는 동서남북이 없다. 우리가 밤하늘의 어느 쪽을 보든 같은 방향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주는 모든 지점에서 균일하다. 우리는 공간이 모눈종이처럼 격자를 이룬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공간은 휘어져 있으며 내부에서 계속 만들어진다.


    직선은 곧은 선이 아니라 가장 빠른 길에 불과하다. 우주에 곧다는 것은 없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은 빛을 보는 것이며 빛은 빠른 길로 간다. 빠른 길이 직선이다. 필자가 수십년 전에 착안한 '뒤집어진 귤껍질 모형'이 도너츠와 유사하다.


    귤껍질은 바깥인데 뒤집으면 바깥이 안이다. 우주는 밖으로 팽창하는데 그 팽창이 일어나는 생장점이 내부에 있다. 도너츠는 가운데 구멍이 있지만 이는 비유로 말한 것이고 우주 가운데가 뻥 뚫린게 아니라 우주 내부에 생장점이 있는 거다.


    그 생장점에서 암흑에너지에 의해 공간이 활발하게 생성되고 있다. 공간의 팽창이 우주 바깥의 경계선이 아니라 우주 안에서 일어난다. 바깥이란 원래 없으며 우주 안밖을 나누는 경계선도 원래 없다. 빅뱅은 한 점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팽창은 점 안으로 진행하는 것이며 식빵이 부풀어도 밖으로는 조금도 튕겨나가지 않듯이 안으로 팽창하므로 내부 중심점에서 충돌하여 재차 가속팽창하게 된다. 팝콘은 밖으로 부스러기가 튕겨나가지만 우리 우주는 팝콘이 아니라 식빵이다.


    이는 필자가 수십년 전에 생각한 것인데 학계의 보고와 맞아떨어지고 있으므로 신뢰할만하다고 볼 수 있다. 우주를 에너지 관점으로 연역의 방법으로 바라보면 이 모형 외에 다른 모형을 생각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모형을 주장하는 것이다. 


    우주의 가장자리를 찾는 것은 인터넷의 가장자리를 찾는 것과 같다. 굳이 말하자면 새로 사이트가 생겨나는 서버와 라우트에 생장점이 있고 그곳이 가장자리다. 그런데 안에 있다. 옛날에는 실제 지도 위에 노선도를 표시했더니 승객들이 잘 찾지 못했다. 갈아타는 곳 중심으로 지하철 노선도는 만들어야 한다. 격자모양으로 된 공간개념을 폐지하고 의사결정횟수 곧 매개변수 중심으로 사유하는 것이 위상동형이다.



555.jpg


    우주의 중심이 있으면 안 되고 바깥이 있으면 안 됩니다. 만약 바깥이 있다면 바깥에 또다른 우주가 있을 것인데 매우 골치아파 집니다. 그렇게 되면 그야말로 천상에 이데아의 세계가 펼쳐져 있는 것으며 우리는 그림자를 보고 있는 것이죠. 평행우주처럼 우리우주 너머를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물리적 시공간의 바깥은 아니고 다른 개념으로 봐야 합니다. 우리 우주는 일단 빅뱅 이후 닫혀있다고 봐야 합니다. 빅뱅 이전을 논하면 매우 피곤해지는 거죠. 


[레벨:4]안미인

2016.10.07 (18:22:49)

친절한 설명 도움이 많이 되네요

[레벨:15]오세

2016.10.08 (09:08:25)

이것은 신의 모형이기도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91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021
3724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364
3723 의사결정학의 관점 2 김동렬 2014-07-06 6365
3722 동적균형의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3 6377
3721 행복은 세상에 대한 보고서다 image 11 김동렬 2015-02-21 6387
3720 구조론의 정수 image 2 김동렬 2014-12-19 6396
3719 신영복 선생의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6-01-18 6396
3718 인지혁명이 시작되다 image 1 김동렬 2016-06-13 6398
3717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403
3716 답은 상부구조에 있다. 1 김동렬 2014-08-24 6407
3715 불확정성의 원리 image 1 김동렬 2015-03-17 6410
3714 괴짜가 창의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5-15 6411
3713 남자가 실패하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5-04-27 6416
3712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3 김동렬 2015-02-25 6418
3711 구조의 시뮬레이션 image 8 김동렬 2015-02-23 6419
3710 인식론의 문제 image 9 김동렬 2015-01-14 6424
3709 문명의 대결 image 김동렬 2015-07-16 6431
3708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435
3707 권력과 의리 4 김동렬 2018-08-11 6442
3706 세, 법, 술로 이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5-06 6445
3705 구조론으로 본 의학 image 20 김동렬 2015-01-12 6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