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129 vote 0 2016.10.06 (18:55:11)

27.jpg


     구조론을 이해하는 기본은 ‘그것이 그것이다’이다. 알고보니 자기장이 전기장이더라. 알고보니 질량이 에너지더라. 이런 식으로 다른 것을 같은 것으로 합쳐나가는 과정이 과학의 발전이다. 구조론은 만물이 하나의 뿌리에서 나온 바 패턴복제인데 상호작용의 형태만 바꾸었다는 말이다. 근원의 하나는 사건의 완전성이다.


    서로 다른 것에서 같은 것을 찾는 것이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와 관련하여 화제가 된 위상수학이다. 겉보기 등급이 달라도 매개변수의 숫자가 같으면 같은 것이다. 그것이 그것이다. 사과와 배가 비록 맛이 다르고 생김새가 다르지만 수학에 오면 1이다. 둘은 같다. 매개변수의 숫자가 같으므로 그것은 같은 것이다.


    사과를 한 번 손으로 집어서 옮길 수 있듯이 배도 한 번 집어서 옮길 수 있다. 그러므로 매개변수가 같은 1이다. 위상수학도 마찬가지다. 형태를 보지 말고 에너지를 보라. 안과 밖이 있다. 빵은 안에서 밖으로 확산방향이다. 도너츠는 수렴방향이다. 매개변수가 증가했다. 밖에도 밖이 있고 안에도 밖이 있으니 밖이 둘이다.


    프레첼은 구멍이 둘이다. 세 번째는 무시한다. 축을 이동시키면 사건은 완성되기 때문이다. 사건은 둘이 서로 맞들고 함께 일어선다. 반드시 둘이 쌍을 이루며 가운데 축을 성립시키고 다시 축을 이동시킨다. 빵은 질이고, 도너츠는 입자이며, 프레첼은 힘이다. 운동은 다시 거기서 구멍을 하나 닫고 량은 모두 닫는다.


    에너지는 확산하거나 혹은 수렴하거나 혹은 그 수렴의 축을 틀거나 혹은 그 축을 교대하거나 혹은 그 축을 제거하는 다섯 가지 모습을 가질 뿐이며 그 외에 없다. 의사결정은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며 에너지는 확산을 수렴으로 바꾸어 축을 만들고 다시 축을 이동시켜 선택하고 그것으로 완성되기 때문이다.


555.jpg


    이 안에 다 있습니다. 이것만 알면 됩니다. 단 형태를 보지 말고 매개변수를 보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사과 하나와 호박 하나가 크기가 달라도 같은 1이라는 것을 잘 이해했잖아요. 멍청하게 물 한 컵에 한 컵을 더하니 맥주컵으로 한 컵인데요. 이런 소리 안했잖아요.


[레벨:30]스마일

2016.10.06 (20:08:04)

모든 가설 설정의 기본

"그것은 그것이다."

이 식에 대입만 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474
3739 만화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7-02-20 13466
3738 벤처, 어떻게 할 것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0 12527
3737 인류의 뇌가 작아졌다고? image 김동렬 2017-02-17 12303
3736 권력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7-02-16 13535
3735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image 8 김동렬 2017-02-14 17683
3734 마음이 바래는 것은? image 김동렬 2017-02-13 12933
3733 영화 컨택트를 보고 image 3 김동렬 2017-02-13 13394
3732 포지션을 얻은 다음 버려라 image 3 김동렬 2017-02-12 13120
3731 마음은 안정되려고 하나 image 2 김동렬 2017-02-11 13326
3730 마음의 마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2-10 13282
3729 존재론과 인식론의 구분 image 김동렬 2017-02-09 13422
3728 컨택트 (Arrival, 2016) image 김동렬 2017-02-07 13494
3727 인생은 운명인가 자유의지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05 14415
3726 호르몬의 전략과 선택 image 1 김동렬 2017-02-04 13557
3725 생각에 옷을 입혀라 image 김동렬 2017-02-03 12771
3724 진실에 도전하라 image 김동렬 2017-02-02 12820
3723 한국말을 배웁시다 image 10 김동렬 2017-02-01 14256
3722 구조론에 도전해보자. image 1 김동렬 2017-01-29 13671
3721 왼손잡이는 왜 멸종하지 않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1-27 14124
3720 느낌 속에서 답을 찾아라. image 김동렬 2017-01-26 14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