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06 vote 1 2016.09.27 (12:54:01)

     

    죽음은 무엇인가?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 하도록 세팅되어 있다. 디폴트로 정해져 있다. 반면 개미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하도록 되어 있으니 두려워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동시에 훈련된 지도자는 죽음을 극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죽음을 극복하는 것이 또한 자연스럽다.


    죽음을 경험할 수는 없다. 탄생을 경험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자궁 속에서 어떻게 살그머니 빠져나왔지를 설명하는 사람을 나는 본 적이 없다. 탄생과 죽음은 인생에서 일어나지 않는 사건이다. 어차피 있지도 않은 것을 신경쓴다면 터무니없다. 차라리 외계인의 침략이나 걱정해보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인간은 복제본이며 반드시 원본이 있다. 당신의 클론을 복제하여 당신 옆에 두었다고 치자. 클론이 죽는다면 당신은 죽은 것인가? 아니다. 당신은 클론의 죽음을 걱정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클론 역시 자신의 죽음을 걱정하지 않을 것이다. 원본이 살아있으므로 자신이 살아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클론은 자신의 죽음을 걱정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원래 걱정이 많은 동물이니까. 개미라면 전혀 걱정하지 않을텐데 말이다. 그것은 훈련으로 극복해야 하는 문제다. 당신은 복제된 클론이며 당신의 죽음은 걱정할 이유가 없으며 죽음이란 파견을 나갔다가 본대로 회귀하는 것이다.


    낙엽은 때가 되면 스스로 죽는다. 원본을 살리고 복제본은 죽는다. 죽어서 거름이 되고 거름이 나무를 살린다. 인간도 같다. 세포들은 수년 안에 전부 죽어서 머리부터 발끝까지 교체된다. 뼈도 파골세포에 의해 해체되고 골수에서 조골세포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다. 당신은 무수히 죽고 또 새로 태어났다.


    본질은 계획이다. 말기암 환자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말기암 환자의 걱정은 이웃에게 빌린 돈 5천원을 갚아야 하는데 뭐 이런 거다. 결말짓지 못한 계획 때문에 당신은 죽음이 두렵다. 그런데 당신의 계획은 정확히 무엇이었나? 바로 그것을 모른다.


    계획의 중단 때문에 인간은 고통받지만 정작 그 계획의 실체는 누구도 모르는 것이다. 생각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막연하게 뭔가 더 해봐야 될 것 같은 느낌이 있을 뿐이다. 그 계획을 정확히 아는 순간 모든 두려움에서 벗어난다. 복제본의 계획은 원본에 있다. 당신의 진짜 계획은 인류의 계획에 있다.


    재미있는건 탄생 이전에 대해서는 왜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느냐이다. 죽음 이후가 두렵다면 탄생 이전도 두려워야 한다. 탄생하기 이전에 137억년 동안 당신 없이도 잘 굴러왔다. 그 긴 세월 동안의 깊은 허무는 왜 두렵지 않은가? 아니 두렵다. 탄생이전이 매우 두렵다. 5억년 버튼을 누르고 왔기 때문이다.


    탄생 이전의 긴 세월에 대한 두려움을 아는 사람이라면, 5억년 버튼을 연타로 때려버리고 온 사람이라면, 길어야 80년 정도로 끝나는 드라마에 안도할 것이다. 게임은 계속되는 것이며 거기에 누구의 이름이 붙든 상관없는 것이다. 옛날에는 영화를 3시간씩 길게 해서 중간에 화장실도 다녀오고 그랬던 거다.


    90분 정도로 끊어주는게 좋다. 오줌 참을 걱정 없이 콜라를 마실 수 있다. 내 인생이 조만간 끝난다는 압박은 내라는 자기소개형 언어습관에 잡혀있기 때문이다. 자기소개 버릇을 고치면 죽음의 압박에서 자유로롭다. 게임이 제대로 되었는지가 중요하다. 나의 출연여부와 상관없이 드라마는 계속 가는 거다.


555.jpg


    죽음 정도는 극복해줘야 리더의 자격이 있는 거지요. 반대로 죽음이 두렵다면 그것은 자신을 리더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01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162
3724 완전성의 노래 image 8 김동렬 2013-05-28 9680
3723 우주는 구겨져 있다 김동렬 2013-10-03 9653
3722 인과작용에서 상호작용으로 image 3 김동렬 2016-10-18 9651
3721 자기소개 절대로 해라 image 김동렬 2016-09-24 9624
3720 안철수의 멸망이유 image 김동렬 2016-10-13 9620
3719 모형적 사고 image 1 김동렬 2013-04-18 9619
3718 진리 세계 진보 역사 문명 김동렬 2007-12-31 9615
3717 양자로 보는 관점 image 김동렬 2013-07-12 9613
3716 천하의 질문에 답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8-05-24 9610
3715 예측투자로 성공하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3-06-27 9609
3714 누가 진리의 화살에 맞서랴? image 5 김동렬 2013-09-04 9607
3713 언어란 무엇인가? image 7 김동렬 2016-09-22 9606
3712 구조주의 진화론 김동렬 2008-05-16 9602
3711 종교와 광기 2 김동렬 2014-02-05 9601
3710 세상은 이렇게 탄생했다 image 13 김동렬 2013-10-07 9587
3709 계몽인가 소통인가 김동렬 2007-04-23 9577
3708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2 김동렬 2013-10-08 9574
3707 완전한 사랑에 이르기 3 김동렬 2014-01-14 9566
3706 러닝 피라미드 image 4 김동렬 2018-08-06 9560
3705 나는 노무현주의자다 김동렬 2004-08-25 9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