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022 vote 0 2016.09.15 (12:23:38)

     

    구조론 1분 설명


    이것이 이렇게 되면 저것이 저렇게 된다는 것이 구조다. 이때 이것과 저것은 엮여 있다. 구조의 엮임을 대칭이라고 한다. 그 대칭의 종류가 다양하다. 공간적으로 엮여 있는 대칭 뿐 아니라 시간적으로 엮여있는 호응도 있다. 대칭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매개변수다. 매개변수는 다섯가지가 있으므로 대칭의 종류도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 다섯가지가 합쳐져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사건을 구성한다. 사건은 외력으로 작용하는 에너지를 계에 태우고 그 에너지작용의 불균일에 따른 내적 모순을 처리하는 형태로 일을 한다. 이때 에너지를 태우는 입력측의 상부구조와 일하는 출력측의 하부구조로 나눠진다. 이들이 일하는 방식에 따라 세상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 구조는 곧 의사결정구조다. 구조의 엮임이 계를 이루어 에너지를 태웠을 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결정하는지를 추적하는 것이 구조론이다. 구조는 기본적으로 이것과 저것 사이에서 상호작용의 방법으로 일한다. 인류과 지금까지 탐생해온 방법은 원인과 결과의 일방작용이다. 원자론적 사유와 결정론적 사유로 세상을 상대해온 것이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세계는 원인과 결과의 순차적 진행이 아니라 대칭의 축 하나가 움직여서 대칭된 날개 둘을 동시에 결정하는 일의성의 원리 곧 게임이론적인 동시적 상황, 확률적 상황, 양자론의 불확적성적 상황으로 안내한다. 완전히 다른 세계가 열린다. 그 세계로 당신을 초대한다.


 01.jpg


인과적 세계관


02.jpg


상호작용의 세계관


555.jpg


    명절에 철 지나간 성룡영화나 보느니 구조론 공부가 적당하오. 왜 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구조의 종류가 꽤 많기 때문입니다. 손자병법만으로 이야기가 끝나지 않는게 오자병법도 있기 때문입니다. 결정적으로 당신은 시계 속에 살고 있는게 아니라 게임 속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에서 주인공 떠돌이는 거대한 톱니바퀴들 속에 갇혀버립니다. 바쁘게 돌아가는 시계 속에 들어가 버린 것과 같습니다. 그것이 근대의 사유입니다. 그러나 현대는 다릅니다. 세상은 시계가 아니고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가 아닙니다. 세상은 게임입니다. 시계는 시계방향이라는 한 방향으로만 작동하지만 게임은 드롭과 레이즈의 두 방향으로 작동합니다. 게임은 반드시 상대가 있어야만 성립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상대방은 당신이 패를 선택할때까지 의사결정을 유보한 채로 당신을 째려보고 있습니다. 뒤통수를 치지 않으면 집니다. 구조론이 안내하는 상호작용의 세계관을 익힌 자가 승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557
6879 구조의 빌드업 new 김동렬 2024-06-15 218
6878 미래산업 정문술 명암 김동렬 2024-06-15 486
6877 세계관 김동렬 2024-06-08 662
6876 정情과 한恨 그리고 정한情恨 update 2 김동렬 2024-06-13 716
6875 원론 김동렬 2024-06-09 724
6874 무한사고 김동렬 2024-06-10 727
6873 신라금관의 비밀 2 updateimage 3 김동렬 2024-06-13 738
6872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746
6871 호암미술관 백제의 유혹 관음상 updateimage 4 김동렬 2024-06-13 755
6870 세계상 김동렬 2024-06-07 852
6869 자아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6-12 852
6868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904
6867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24
6866 코기토 논증 1 김동렬 2024-06-04 957
6865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989
6864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1017
6863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1019
6862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1020
6861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1023
6860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