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33 vote 0 2016.09.01 (18:53:52)

http://mhpark.or.kr/ 

<- 뇌과학자 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


한 다리 건너 들은 소식이라 제가  잘 알지 못하지만 

저번에 몇 차례 말씀드린 적 있는데 열심히 활동하는 과학모임입니다. 


과학에 대한 확신으로 종교를 대체하고 삶을 바꾸자.

<- 뭐 이런 슬로건을 내걸지는 않았겠지만


벌이는 일이 종교집단에 가까울 정도로 열성적입니다. 

이번에 50여명 회원을 모아 몽골 일대를 답사하고 온 모양인데 


라이벌 의식을 느끼고 우리도 뭔가 좀 해봐야 하는거 아닌가 합니다. 

듣기로는 회원들에게 공부를 빡세게 시킨다고 하는데 


구조론도 공부를 빡세게 시켜야 회원의 참여가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해보면 구조론의 방법이 너무 노자의 무위와 가깝다 싶습니다.


구조론은 한 사람이 깨닫고 나머지는 묻어가는 대승인데 

그러다보니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빼먹고


그저 궁금해서라도 우주와 인간와 삶의 근본에 대해서 

다 알지 않으면 못 참겠다. 잠이 안 온다. 분해서 못 살겠다. 


하느님을 붙잡아와서 항복을 받아내야만 성에 차겠다.

이런 정도로 성깔있는 분이 구조론에는 없는 것 같소이다. 


눈에 힘 주고 오지게 달려들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정말 이 사태에도 잠이 오는지 밥이 넘어가는지 묻고 싶소이다. 


제법 머리에 뇌 씩이나 달고 있는 인간으로 태어나서

세상이 뭔지 사회가 뭔지 내가 누구인지 암것도 모르고 


어버버 하면서 사느니 차라리 혀 깨물고 죽는게 맞지.

뇌에게도 뇌 자신의 야심이 있을 것인데 말입니다. 


진리에 대한 확신으로 종교를 제압하고 사회를 개혁하고 삶을 바꾸자.

우리에게도 이런 슬로건이 필요한게 아닐까요? 


[레벨:6]sus4

2016.09.01 (20:01:23)

너무너무너무 흥미롭네요.

한국에 이런 모임이 다 있다니.

프로필 이미지 [레벨:19]id: 태현태현

2016.09.01 (20:23:34)

대찬성 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16.09.01 (20:58:14)

빅뱅을 이론적으로 소개 받은 곳(백북스) 생물학 .물리학. 천체물리학등 이론이 잘 정리되어 있음(개방된 공간:구조론 연구소가 연구 결과에 더 개방적이고 진보적임)

라이벌로 보진 않고, 현역들이 좀 더 많이 있는 정도

구조론 학당 찬성

프로필 이미지 [레벨:11]탈춤

2016.09.01 (21:14:42)

찬성

[레벨:4]혜림

2016.09.01 (22:39:28)

필요합니다. 선생님 말씀대로 밥 안넘어가고 잠 못자는 1인입니다만.. 이 사이트 안에 적극적으로 참여해볼만한 시스템이 없었던 부분이 좀 아쉬웠습니다. 그런 부분이 좀 보완이 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진행하실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이 사이트가 적어도 <리더>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했으면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구조론 강의와 더불어 역사 강의, 세계의 흐름, 대한민국의 비전 등을 나누고 제시해주신다면, 인류의 진보적 흐름 안에서 개인의 구체적인 포지션을 찾게 될 것이고, 그것이 삶을 바꾸는 기반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구체적인 방향 제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주신다면, 꼭 필요한 사람들이 달려들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레벨:15]오세

2016.09.01 (22:59:30)

제가 박자세 회원입니다 ㅎㅎㅎ. 하지만 구조론이야말로 진짜배기입니다. 구조론은 신과의 일대일을 피하지 않으니까요. 연출된 자연으로 후퇴하는 것은 정답이 아닙니다. 최종적으로 미학의 문제, 어떤 모습으로 신과 대등하게 마주할 것인가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게 구조론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09.01 (23:01:04)

매주 목요일에 구조론 모임이 있습니다.

[레벨:17]눈마

2016.09.01 (23:24:13)

ETRI학자가 만들었으니, 교수들이나 전문직들이 많을겁니다.


여튼, 구조론도, 몽골도 가고, 미국도 가고, 중동도 가고, 못갈게 없습니다. 지금 이순간도, 거리와 시간의 경계가 상당히, 가까워졌습니다.


그리고, '의사결정구조론'은 아직 없습니다. 좀, 샌님들의 공동체처럼 보이긴 하네요.


그럼에도, 미적분과 뉴턴역학은 필수라는데 동의. 코딩이 뜬다 그러면 와하고, 주산이 뜨고 질때 뭐했는지...그것보다는, 서양논리학이 우선인데, 미적분과 뉴턴역학은 논리의 구조를 부여함.

[레벨:8]dharma

2016.09.02 (05:37:52)

아카데미를 만듭시다!

그럴려면 돈도 조금 필요한데

한푼두푼 모아서 제대로 된 커리큘럼  만듭시다

만들자고만 외쳐봐야 아무 소용 없읍니다


잘 될지는 몰라도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는 깨달음의 커리큘럼이 되어야 합니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첫 단추를 잘못 끼면 두고두고 후회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2016.09.02 (17:31:52)

깨달음, 의사결정학, 쉬운구조론 세상은 마이너스다 각각 5번 이상씩 읽은 것같소. 이제서야 상호작용으로 보는 관점이 무엇인지 알것같소. 진도 나가야하오.

[레벨:4]고다르

2016.09.03 (22:25:51)

3,4년 과정의 커리큘럼이 만들어져야합니다. 커리큐럼은 회원 토론으로 만들어선 안되고 김동렬님이 단독으로 만들어야합니다. 그 커리큘럼은 가능한 구체적이어야하고 사전에 제시되어야합니다. 그 커리큘럼에 동의하지 않는사람은 나가면됩니다. 학과 비학의 구분은 커리큘럼의 유무로 되는 거잖아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9]id: 태현태현

2016.09.09 (15:59:00)

사상의 총류, 구조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622
2165 이소룡과 이연걸 image 3 김동렬 2017-03-27 67517
2164 생명로드56 - 새 국회의 탄생과 주요행사안내 image 수원나그네 2020-04-16 50455
2163 남자들이 버섯머리를 싫어하는 이유 image 7 김동렬 2014-07-13 41577
2162 적정기술의 실패 4 김동렬 2016-07-24 25898
2161 흑인 부부가 백인 아기 낳아 image 15 김동렬 2010-07-20 25849
2160 쿠르베, 성기의 근원 image 16 김동렬 2014-06-09 23257
2159 625때 중공군 사상자 숫자 7 김동렬 2013-07-15 23074
2158 양직공도 신라사신 image 9 김동렬 2013-02-06 21808
2157 독수리 오형제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3-07-15 21325
2156 세잔의 사과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5-08 21032
2155 창의적 사고의 단계들 lpet 2011-02-27 19858
2154 이방인, 이정서가 틀렸다. image 8 김동렬 2014-04-29 19201
2153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빨리 언다. 13 김동렬 2011-01-04 18954
2152 이영애는 백인 유전자를 가졌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30 16135
2151 개인용 컴을 만든다면, 이 정도가 기본. 4 ░담 2010-02-19 15774
2150 사람은 왜 눈썹이 있는가? image 2 김동렬 2018-04-19 15618
2149 진화의 오류? image 10 김동렬 2012-06-06 15453
2148 눈동자의 크기 image 18 김동렬 2014-04-11 15049
2147 김조광수 김승환 커플 image 5 김동렬 2013-10-02 1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