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417 vote 0 2016.08.29 (20:16:59)

  

    1.jpg


    에너지는 질의 상태다. 둘의 상호작용으로 하나의 계를 이룬다. 그림처럼 동그랗게 생긴 것은 아니다. 원자의 핵과 전자가 빛을 매개로 상호작용하는 그림을 떠올려도 좋다. 다양한 상호작용의 형태가 있다. 질은 결합한다 했으니 어떤 둘이 결합하여 하나의 계를 이루고 의사결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2.jpg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 초끈이론을 떠올려도 좋다. 혹은 암흑에너지를 생각할 수도 있다. 세상은 공간의 진동으로 되어 있다. 짧은 끈이 진동한다면 어떤 둘이 무언가를 주고받는 것처럼 보인다. 끈이라면 양끝단이 있기 때문이다. 그 이상은 생각할 수 없다. 어떻든 진동하다보면 충돌하여 사건을 일으키게 된다.


    3.jpg


    진동은 확산방향이다. 일정한 임계에 이르면 서로 충돌하여 엮인다. 엮여서 계를 형성한다. 계는 공간의 요동이 충돌로 인해 확산방향에서 수렴방향으로 바뀐 것이다. 씨름선수가 서로의 샅바를 잡은 것과 같다. 핵과 전자가 샅바를 잡고 씨름을 하면 입자가 연출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자연에서 무수히 관찰된다.


   4.jpg


    입자는 하나가 하나를 업어서 내부에 축을 형성한 상태다. 물질이라면 핵이 전자를 업어서 지배하는 상태다. 전자가 핵에 잡혀버린 것이다. 씨름이라면 한 선수가 다른 선수에 잡혀서 무게중심을 빼앗긴 상태다. 한 쪽은 힘을 쓸 수 없다. 그러므로 외력에서 완전 독립한다. 입자가 되면 내부에서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5.jpg


    힘은 공간의 방향을 튼다. 지렛대의 원리가 작동하므로 진행방향에 따라서 완전히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 씨름선수는 상대방을 들어올려서 입자를 이룬 다음 방향을 틀어서 물리적으로 제압해야 한다. 이때 외부환경을 보고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씨름선수는 상대방을 땅에 패대기쳐야 한다. 땅과 교섭한다.


    6.jpg


    운동은 시간적인 진행이다. 시간을 앞당기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사실 변화는 질, 입자, 힘의 전과정에서 일어나지만 인간의 눈에 관찰되는 것은 운동이다. 질, 입자, 힘은 워낙 순식간에 결정되지만 운동은 시간을 끌므로 눈에 잘 보인다. 운동은 변화한다고 했다. 사실은 변화를 관측할 시간이 있는 것이다.


    7.jpg


    량은 승부가 끝났다. 씨름이라면 상대방의 체중이 지구로 침투해 버렸다. 양은 침투한다고 했다. 외부에 에너지를 뺏긴 것이다. 사건은 어떻게든 비가역적 열손실을 일으킨다. 조금이라도 무언가 빠져나간다. 량의 단계에서는 상대방을 통제할 수 없다. 그러나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최대한 회수할 수 있다.


    하나의 사건에서 의사결정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일어난다. 5회의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질이 가장 중요하다. 질은 균일해야 한다. 어른과 아기의 씨름이라면 애초에 시합이 성사되지 않는다. 두 선수의 힘이 비슷해야 상호작용을 일으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이다. 남녀간에 대등해야 한다.


    여자가 세거나 남자가 세면 상호작용이 아니라 일방작용이 된다. 사건은 실패다. 통제할 수 없다. 의사결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핸디캡을 주든 어떤 방법을 쓰던 균일하게 만들어야 한다. 일베와 메갈리아를 대결시켜 놓고 센 쪽에 핸디캡을 줘서 균형을 맞추어야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깨진다.


    어떻게든 다시 불균형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 반드시 승자와 패자가 가려지고 한쪽이 승리하고 한쪽이 패배한다. 우리는 평등을 추구하지만 그것은 시합하기 위한 조건일 뿐 시합의 결과는 언제나 불평등이다. 의사결정은 결국 갑과 을을 만든다. 그리도 환경조건을 바꾸어 다시 대결하기를 반복한다.


   


[레벨:6]Nomad

2016.08.29 (21:14:43)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07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7
3679 알아서 해라 5 김동렬 2016-07-05 6498
3678 역사는 종교로부터 시작되었다 image 6 김동렬 2016-06-09 6499
3677 선제대응하라 김동렬 2014-08-17 6503
3676 세 번의 YES와 두 번의 NO image 3 김동렬 2014-11-30 6505
3675 진화는 우연일까 필연일까? image 4 김동렬 2015-02-11 6507
3674 구조론은 확률이다 image 김동렬 2016-09-04 6507
3673 중국을 망친 손자병법 image 2 김동렬 2016-02-29 6515
3672 율곡이 퇴계보다 높다 image 3 김동렬 2016-04-26 6520
3671 이것이 있으면 저것은 없다 1 김동렬 2018-08-03 6528
3670 엔트로피의 법칙이 모두 설명한다. image 김동렬 2015-08-24 6529
3669 자연의 의사결정원리 1 김동렬 2014-08-12 6530
3668 서세원과 조영남 2 김동렬 2016-06-20 6531
3667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8-04 6535
3666 세상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8-07 6544
3665 쉬운 용어로 본 관점의 문제 3 김동렬 2014-07-18 6548
3664 노력지상주의를 극복하라 image 3 김동렬 2015-01-14 6549
3663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9-08-07 6549
3662 에너지는 유체와 같다 image 8 김동렬 2015-02-06 6555
3661 모든 예비동작은 가짜다 1 김동렬 2014-08-18 6556
3660 대칭의 출발 image 김동렬 2015-04-02 6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