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527 vote 0 2016.08.11 (11:02:44)

     

    우주 안에 고착된 채 홀로 완전한 것은 없으며,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부단히 호흡함으로써 겨우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수는 노래하지 않을 때 죽고, 댄서는 춤추지 못할 때 죽고, 작가는 글쓰지 않을 때 죽고, 문명은 진보하지 않을 때 죽고, 우주는 팽창을 멈출 때 죽고, 시간은 흐르지 않을 때 죽고, 인간은 소통하지 않을 때 죽는다. 각자 그 무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으니 끈이 떨어지면 죽는다. 진박은 쪽박될 때 죽고, 명박은 대선 뒤에 죽는다.  


    존재는 상호작용하지 않을 때 죽는다. 완전성이 먼 곳에 있는 것은 아니다. 아기는 엄마가 곁에 있으면 완전하다. 고양이는 봄볕을 쬘때 완전하다. 새싹은 봄비를 맞을 때 완전하다. 어미는 새끼를 낳을 때 완전하다. 작가는 쓸 때 완전하고, 가수는 노래할 때 완전하고, 댄서는 춤출 때 완전하다. 각자 자신의 무대 안에서 환경과 상호작용할 때 지극히 아름답다. 아름다울 때 완전하다. [생각의 정석 127회]


    우주는 전부 연결되어 하나의 몸통을 이루고 있다. 커다란 족보 안에 각자 자기 주소를 두고 있으며 주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존재를 성립시키고 있다. 가느다란 끈에 매달려 겨우 존재하는 것이다. 


    존재한다는 것은 곧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니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라는 다섯 상호작용의 매개변수가 있다. 다섯 층위에서 상호작용하여 다섯 상대성을 성립시키는 바 동시에 절대성을 성립시킨다. 귀납으로 보면 상대적이고 연역으로 보면 절대적이다. 상대성을 보는 자는 후달리고 절대성을 보는 자는 장악한다.


    바둑알은 흑돌의 위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백돌의 위치가 결정되지만 바둑판 전체로 보면 효율을 따라 가장 유효한 곳에 두니 알파고는 절대적으로 둔다. 경마장에서 고객이 한 번의 배팅에 돈을 따는가 못 따는가는 상대적이지만 언제나 돈은 주최측이 먹으니 주최측은 절대적으로 먹는다. 


    주최측의 관점으로 보는가 경마꾼의 관점으로 보는가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후달리는 약자의 생존전략으로 가면 약해지고 판을 장악하는 강자의 세력전략으로 가면 강해진다. 상대성으로 가면 상대적으로 이기고 절대성으로 가면 절대로 이긴다. 대신 시간과 공간이 걸린다. 시간이 걸리면 장기전으로 막고 공간이 걸리면 지정학적 대응으로 막는다. 


    상호작용이라는 말이 딱딱하게 느껴진다면 사랑이라는 단어로 대체해도 직관적으로 맞다. 단 사랑에 빠지지 말고 사랑에 이겨야 한다. 경마꾼의 도박사랑이 아니라 주최측인 어머니의 아기사랑이어야 한다. 강자의 사랑이어야 진짜다. 



    555.jpg


    우주의 근본원리는 상호작용의 원리입니다. 상대성이자 동시에 절대성입니다. 계를 정하여 닫아걸고 입구와 출구를 장악하는 자가 판을 지배합니다. 내부에서 쪼개는 자는 잠시 승리하고 외부에서 호응하는 자는 영원히 승리합니다. 진짜라면 두 가지 전략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대중을 이끌 때는 한가지 방향을 가리켜야 합니다. 중간에서 이랬다 저랬다 하는 중도파가 제일 먼저 박살납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8.11 (16:40:57)

[생각의 정석 127회] 새누리당 대선후보 안철수?

http://gujoron.com/xe/709576

[레벨:2]하룬강아지2

2016.08.12 (08:10:11)

강자의 사랑 할 수 있는 에너지를 어디서 받나요? 대부분의 에너지를 가지고는 그냥 도박사랑일 뿐인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02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85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56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77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74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67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28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37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97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40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99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27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69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26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92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67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05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11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45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34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60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