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027 vote 2 2016.08.06 (17:34:47)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의 성패를 결정하는 것은 셋이다.


    1) 자원의 질
    2) 지정학적 구조
    3) 진보의 전략


    자원의 질은 간단히 우월한 인종이 이긴다는 거다. 원숭이보다 인간이 낫다. 흑인보다 백인이 낫고 백인보다 한국인이 낫다. 단순히 지능만 높다고 유리한 것은 아니다. 의사결정이 가능한 구조여야 한다. 그러려면 다양성이 필수적이다. 백인만 있는 집단보다 백인과 흑인이 공존하는 집단이 낫다.


    이는 올림픽 경기만 봐도 알 수 있다. 무작정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도 곤란하다. 계가 균일해야 의사결정이 쉽다. 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은 종교나 이념이다. 성차별하는 나라보다 성평등하는 나라가 우월하다. 자원의 질이 우수해야 하지만 지능이 높고 체격이 건장하다고 다되는 것은 아니다.


    백인국가인 코스타리카 1인당 GDP 1만불, 그 옆의 메스티소 국가인 니카라과가 1200불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러나 북한과 남한을 비교해보면 또 다른 이야기가 된다. 인근 파나마는 운하 덕에 메스티소 국가지만 1만불이다. 두 번째는 지정학적 구조다. 파나마는 지정학적으로 유리하다.


    항구가 없는 나라는 대부분 가난하다. 지리적으로 격리된 남미도 형편은 그다지 좋지 않다. 서울에서 런던까지 거리보다 우루과이에서 런던까지 거리가 더 멀다. 중간에 낀 나라가 유리하다. 파나마와 이집트가 운하덕을 보는 것과 같다. 과거 이스탄불의 번영처럼 길목에 있는 나라가 유리하다.


    그러나 북한처럼 길목을 차지하고도 활용하지 않으면 망한다. 터키 역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가교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독일은 동구와 서구 사이에서 적절히 대처하고 있다. 과거 영국은 제해권을 틀어쥐고 유럽과 비유럽을 잇는 가교 역할을 했으나 지금은 의미없게 되었다.


    세 번째는 전략이다. 세력전략이냐 생존전략이냐다. 전체주의냐 민주주의냐다. 실패한 나라들은 의사결정구조가 잘못되어 있다. 전략도 시대에 따라 변한다. 어떤 시대에 좋은 전략이 다른 시대에는 안 좋은 전략이 될 수도 있다. 과거에는 영국의 식민지 경영이 부를 창출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식민지가 오히려 부담이 되니 과거 소련이 미국과의 패권경쟁으로 망가진 것과 같다. 미국은 레이건이 군축으로 재미를 봤다. 트럼프 말도 일부는 맞다. 미국의 패권집착이 국가에 막대한 손실을 끼치는 것은 확실하다. 그 시대와 상황에 맞는 전략이 필요한 것이며, 적절히 변화해야 한다.


    봉건시대에는 역할을 나누는 계급제도가 노예제에 비해 진보였고, 왕정시대에는 절대왕정이 진보였고, 지금은 민주주의가 진보다. 의사결정방식은 계속 바뀌는 것이다. 국민이 가진 역량의 백퍼센트를 동원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 일본은 봉건제 관습의 장점을 살렸지만 지금은 아니다.


    리더가 잘해야 하는 타이밍이 있고 중산층이 잘해야 하는 흐름이 있고 하층민이 잘해야 하는 흐름이 있다. 고정되어 있지 않으니 스마트폰과 같은 혁신은 리더가 잘해야 가능하지만 패션과 디자인으로 살려면 하층민까지 잘해야 한다. 한국은 중간의 힘으로 왔지만 총체적으로 잘해야 한다.


    일본은 영주가 멍청해도 가신들이 보좌하는 방식이다. 한국은 이순신과 같은 리더에게 과도한 책임을 부여하는 나라다. 그러나 박정희부터 박근혜까지 한국은 리더의 힘보다 교육받은 중간층의 힘으로 왔다. 앞으로는 다 잘해야 한다. 개고기 먹고 여유부리면 패션과 디자인에서 밀린다.


    전 국민이 세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앞으로는 노숙자도 예쁘게 노숙해야 한다. 거지도 앵벌이식은 곤란하고 세련된 유머로 무장하고 자선의 기회를 팔아야 한다. 그런 시대가 되었다.


   555.jpg


    우주의 탄생부터 21세기까지 우리가 모르는 진짜 역사를 한 번 써보려고 합니다. 역사 전문가들이 보면 뒷목을 잡겠지만, 사실의 기록보다는 관점의 차이를 부각한다는 측면에서 보아주시길.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슈에

2016.08.06 (19:11:41)

VERY GOOD! 기대됩니다. 구조론으로 본 역사책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6.08.06 (22:20:38)

기대가 되는군요~

[레벨:11]큰바위

2016.08.08 (11:35:26)

오호!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953
3102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3-05 6080
3101 더 높은 층위의 세계가 있다 image 3 김동렬 2016-04-19 6073
3100 비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1-02 6067
3099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4-09-08 6067
3098 사건을 일으키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5-01-06 6064
3097 동의 동을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1-04 6057
3096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053
3095 선진국이 되면 행복해질까? 3 김동렬 2018-08-20 6051
3094 구조론 사람 1 김동렬 2018-08-02 6050
3093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049
3092 모든 문제의 정답 2 김동렬 2014-09-05 6046
3091 대결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4-21 6045
3090 빚이 있어야 경제가 발전한다 4 김동렬 2018-08-30 6043
3089 자연법칙의 이해 2 김동렬 2014-09-15 6042
3088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033
3087 공자와 예수, 소크라테스 image 2 김동렬 2016-03-02 6031
3086 볼테르와 그의 친구들 2 김동렬 2015-04-06 6031
» 누가 역사의 승리자인가? image 3 김동렬 2016-08-06 6027
3084 진화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9-22 6022
3083 대수에서 기하로 image 2 김동렬 2015-01-31 6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