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54 vote 0 2016.08.01 (23:28:53)

     

    어린이는 별다른 내용이 없는 비디오를 수십 번 반복해서 돌려본다. 줄거리를 다 알고 있는데도 여전히 재미를 느낀다. 그래도 뇌가 반응하기 때문이다. 뻔히 아는 내용이라도 어린이의 뇌는 전혀 싫증내지 않는다. 


    본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새 뇌가 패턴을 포착하여 스스로 학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뇌 안에서 뉴런을 연결하여 새로운 경로를 개척하고 있기 때문이다. 깨달음도 이와 같다. 반드시 한 번은 천장을 뚫어야 한다. 


    고도의 집중상태에 들어가야 한다. 어린이는 저절로 그것이 되지만 어른은 의식적으로 도전해야 한다. 패턴을 깨닫고 관점을 바꾸어야 한다. 뇌가 물리적으로 반응하게 만들어야 한다. 경로를 개척하여 뉴런을 심어야 한다. [생각의 정석 126회]


    ###


    깨닫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차이는 뇌가 반응하는가에 있다. 물리적으로 반응해야 한다. 누구라도 첫 등교와, 첫 소풍과, 첫 입사와, 첫 운동회와, 첫 수학여행과, 첫 입대와, 첫 휴가와, 첫 사랑과, 첫 키스는 잘도 기억한다. 


    만나면 즐겁다. 즐겁기 때문에 기억한다. 뇌가 반응하기 때문에 기억한다. 가슴이 들뜨기 때문에 기억한다. 전율하기 때문에 기억한다. 두 번째부터 기억되지 않는다. 두 번째 등교와, 두 번째 소풍과, 두 번째 키스는 잘 기억되지 않는다. 


    그대가 깨닫지 못하는 것은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라 뇌가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며 그것을 첫 키스로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사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진리와의 첫 만남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555.jpg


    천재는 아이큐가 아니라 반응력입니다. 민감한 자가 전율하고, 전율하는 자가 에너지를 얻고, 에너지를 얻은 자가 끝까지 가고, 끝까지 가는 자가 세상을 바꿉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8.02 (11:25:45)

[생각의 정석 126] 문안인사 필요없다!

http://gujoron.com/xe/70743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532
3306 의사결정학의 개요 image 9 김동렬 2014-05-27 7058
3305 깨달음의 과학 3 김동렬 2014-05-25 7043
3304 의사결정구조 100문 100답 image 2 김동렬 2016-09-08 7029
3303 구조론 백문백답 image 김동렬 2016-09-07 7024
3302 의사결정학의 의미 image 김동렬 2014-07-07 7021
3301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4-29 7013
3300 선택이냐 대응이냐 1 김동렬 2018-07-10 7012
3299 간화선의 의미 6 김동렬 2018-07-20 7009
3298 존재는 존재의 논리가 있다 3 김동렬 2014-05-26 7007
3297 다양성과 획일성 image 2 김동렬 2015-05-09 7003
3296 구조론 1분 설명 image 김동렬 2016-09-15 6997
3295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7 김동렬 2015-02-24 6987
3294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6976
3293 존재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11-04 6966
3292 인과율의 3가지 태도 2 김동렬 2015-07-20 6965
3291 세상은 짜고 치는 고스톱 image 김동렬 2015-05-05 6960
3290 성선설과 성악설 image 김동렬 2016-05-09 6959
3289 풍성해야 진보다 1 김동렬 2018-07-21 6956
3288 애매한 공간에서의 동적균형 1 김동렬 2014-06-30 6953
3287 피케티와 빌 게이츠 1 김동렬 2014-10-22 6941